'왜 차별합니까. 경기도민, 버스 이용객은 뭡니까….'서울시가 교통대란 응급대책으로 내놓은 지하철 정기권 도입에 철도청이 '절대 수용불가'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힘에 따라 정기권이 수도권 통근자들은 이용할 수 없는 '반쪽패스'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요금부담이 경감되지 않은 버스 이용객들도 지하철 정기권에 대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는 등 보완대책이 안팎으로 '땜질처방'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명박 서울시장은 4일 지하철 이용객의 요금부담을 줄이기 위해 15일부터 서울 지하철에 우선적으로 정기권을 도입하고, 철도청과의 협의를 거쳐 추후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시가 도입키로 한 월 정기권은 한 달 동안 3만5,200원에 지하철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교통패스.
그러나 철도청은 5일 시의 지하철 정기권 도입이 거리비례제와 수익자 부담이라는 교통체계 개편의 취지와 근간을 훼손하는 면피용 대책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시에 전달했다. 철도청 광역철도본부는 "서울시가 단 한 번의 사전 협의도 없이 언론을 통해 정기권 도입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며 "잘못된 운임구조를 바꾸고 지하철 적자를 현실화하자는 게 이번 개편의 취지였는데 정기권을 도입하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철도청 관계자는 "서울시가 적자보전을 해줄 것도 아니면서 최저운임을 적용한 월 3만5,200원 정기권을 도입하라는 것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제안"이라며 "결국 지하철 적자를 시민세금으로 '돌려막기'하게 될 텐데 그게 무슨 요금경감안이 되느냐"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철도청 운영구간에는 정기권이 적용되지 않게 돼 실질적으로 요금부담이 가장 큰 경기도 통근자들과 1호선 시내구간 중 서울역∼청량리 이외 구간 이용객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게 됐다.
게다가 버스와 지하철을 동시에 이용하는 승객은 일체의 환승혜택 없이 별도의 버스요금을 따로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요금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직장인 강모(39)씨는 "버스 중심의 교통체계 개편이라고 대대적으로 선전해 온 서울시가 교통대란의 대책으로 지하철 요금 인하안을 내놓은 걸 이해할 수 없다"며 "결국 요금부담이 줄어든 지하철로만 사람이 몰리고 버스는 외면받을 게 뻔하다"고 비판했다.
/박선영기자 aurevoir@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