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日 한국전 17번째 참전국"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日 한국전 17번째 참전국"

입력
2004.07.02 00:00
0 0

한국전쟁 때 창설 초기의 일본 자위대가 후방 참전을 했던 사실이 상세히 밝혀졌다. 아사히(朝日)신문이 자위대 창설 50주년인 1일 보도한 당시 자위대 핵심 간부들의 증언에 따르면 한국전쟁 기간 미군의 요청으로 해상보안청이 비밀리에 '특별 소해대(掃海隊)'를 편성해 연인원 1,200명과 소해정 등 함정 25척을 한국 해역에 파병했다.오가 료헤이(大賀良平·81) 전 해상자위대 막료장은 "한국전쟁 발발 때 시모노세키(下關)에 있는 해상보안청의 소해대 지휘관이었다"며 "1950년 10월 일본의 특별소해대가 편성돼 한국 서해 파견 명령을 받고 나도 2개월 가까이 소해 작전에 참가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미군의 출격 거점인 일본의 항구나 전선인 한국의 항구에 "공산세력이 어둠을 틈타 어선으로 기뢰를 뿌릴 우려가 있었다"고 회고했다.

특별소해대 정식 편성 직전인 1950년 9월15일 인천상륙 작전 때부터 기뢰 제거 작업과 수로안내 등에 참가했던 일본 해상보안청 요원들은 소해 작전에서 1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했지만 일절 발표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 백선엽(白善燁) 전 육군참모총장은 '문예춘추(文藝春秋)' 2월호 기고에서 "일본은 한국전쟁에 구 해군이 갖고 있던 소해정과 요원을 미군이 고용한 형태로 파견하고 있었다"며 "그 중 한 척이 기뢰와 접촉해 침몰했고 전사자가 1명 나왔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한국전쟁에 참가한 연합군은 16개국으로 돼있지만 나는 전투를 하면서 일본이 실질적으로 17번째 참전국이라고 감지하고 있었다"고 평가했었다.

1950년 7월 경찰예비대(육상자위대의 전신) 창설 직후 경비과장 겸 조사과장이었던 고토다 마사하루(後藤田正晴·89) 전 부총리는 "당장은 일본 치안유지라고 하지만 조만간 한국전쟁에 가라고 하는 것은 아닌가 생각했다"면서 "해상보안청 소해정이 인천상륙작전에 끌려가 사상자가 나오고 있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증언했다. 그는 "당시 연합군사령부(GHQ)가 지시한 경찰예비대 편성표가 미군 보병사단과 똑 같은 야전군이어서 간부들은 모두 이런 걱정을 했다"며 "당시 요시다 시게루(吉田茂) 총리가 단호히 거절하지 않았더라면 한반도에 끌려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은 이밖에 미일안보조약이 체결된 다음해인 1952년부터 연합군사령부는 소련에 의한 일본 직접 침공보다는 한반도 유사사태가 일본에 파급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이를 우선시하는 '공동통합작전계획'의 작성을 일본측에 요구하기 시작했다.

/도쿄=신윤석특파원

yssh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