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일선 검찰의 모든 눈은 강금실 법무부장관의 기자회견 내용에 쏠렸다. 강 장관이 풀어놓을 해법에 따라 송광수 검찰총장의 '중수부 폐지론'관련 발언 파문의 확산, 봉합이 결정되기 때문이었다. 다행히도 강 장관은 이번 사태를 간단명료하게 정리, 일선 검찰의 불안감을 잠재웠다. 그러나 그의 설명대로라면 송 총장은 결국 '실체도 없는 그림자에 의혹을 품고 큰 소리를 친 꼴'이 되고 말았다.송 총장이 14일 모 방송이 보도한 '중수부 폐지론'을 언급하며 "검찰권 행사에 불만을 품은 세력이 검찰을 무력화하려는 의도"라고 강하게 비판했을 때 많은 사람들은 "뭔가 알려지지 않은 게 있나 보다"고 생각했다. 평소 신중하고도 정곡을 찌르는 언행으로 정평이 난 송 총장의 발언이기에 무게감이 더했다. 논란이 분분한 가운데 검찰 내부에서는 "발언이 위험수위를 넘어선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급기야 노무현 대통령이 15일 송 총장을 강하게 질타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국가기강 문란'과 '검찰총장 임기제 의미'까지 거론, 송 총장 사퇴 요구로 해석되기도 했다.
그러나 강 장관이 마무리한 결론은 '오해에서 비롯된 일이니 반성하고 잘 해보자'는 것이다. 과격한 언사가 오간 끝의 결론치고는 너무 싱겁다.
시각을 달리하면 대통령과 검찰총장의 갈등이 표면화한 것은 권력이 그만큼 민주화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이번 파문은 중수부 폐지론 문제의 본질에 비해 양측이 필요 이상으로 과잉반응 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이견은 첨예하고 주장은 과격한데 생산적 논의와 의사소통은 단절된 우리 사회의 갈등구조를 다시 확인한 것 같아 뒷맛이 쓰다.
/김상철 사회1부 차장대우 sc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