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서울 교통혁명의 핵심은 버스다. 버스의 속도를 높이고 제때 도착하는 정시성을 확보하는 한편 서비스 수준을 높여 자가용 운전자를 대중교통으로 흡수한다는 게 목표다. 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 바로 '중앙버스전용차로제'. 도로 한가운데 다른 차들은 끼어 들 수 없는 전용 길을 만들어 간선(Blue·B)·광역(Red·R)버스가 씽씽 달릴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중앙차로제가 정착되기까지는 지난달 초 삼일로에서처럼 초기 혼란이 예상된다. 또 일반차로 축소 등으로 버스 이외 차량의 운행이 불편해져 택시기사나 자가용 운전자들의 불만이 증폭될 전망이다.
시행 초기 극심한 혼잡 우려
중앙버스차로는 1996년 천호대로에 처음 도입된 이후 지난해 하정로로 연장됐고 지난달 부터는 삼일로에서도 운영되고 있다. 시가 7월부터 본격 시행하는 구간은 주요 간선축인 도봉·미아로, 강남대로, 수색·성산로 등 3곳으로 서울은 기존의 천호대로와 함께 동서남북으로 중앙버스차로를 갖추게 된다. 올 하반기에는 망우·왕산로, 시흥·한강로, 경인·마포로 등 3개 구간의 공사가 진행돼 11월께 운영될 예정이고, 내년에는 통일·의주로, 공항로 등 7개 도로에도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중앙차로제의 본격 시행을 앞두고 지난달 1일부터 시범 운영된 삼일로의 경우 초기 일주일 간은 버스차로 진출입 때문에 버스와 일반차량이 뒤엉켜 극심한 혼잡이 벌어져 출근길 시민들을 짜증나게 했다. 강남구 양재동에서 광화문으로 출퇴근하는 김영인(42)씨는 "길이가 채 1㎞도 안되는 삼일로 중앙차로 때문에 주변이 온통 마비됐었는데 내달 초 강남대로 전구간에서도 같은 혼잡이 발생한다면 상상하기도 두렵다"고 말했다.
일반 차량은 불이익 감수해야
중앙차로제에서 버스의 속도는 빨라지지만 그 대신 차로를 뺏긴 일반 차량이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길 한복판에 버스길과 승강장을 확보하느라 일반 차로 수가 일부 구간에서 줄어들고 중앙차로 승강장과 연결하기 위한 횡단보도가 추가 설치돼 이전 보다 차량 흐름이 자주 단절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중앙차로에 다닐 수 있는 버스는 광역, 간선버스로 한정돼 지선버스와 마을버스는 승용차와 함께 일반 차로에서 운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기존 가로변 버스 승강장도 그대로 운영돼 승객 승하차를 위한 버스 정차로 일반 승용차의 흐름을 가로막게 된다.
교통망이 취약한 동북부지역의 경우 중앙차로제로 길이 막히면 일반 차량들이 삼양로 등 이면도로나 골목길로 분산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 우회도로로 몰린 차량 때문에 주변 지역 주민들은 간선버스를 타러 도봉·미아로까지 나오는 것 자체가 힘들어질 가능성도 높다.
이에 대해 시 도심교통개선반 정만근 팀장은 "초기에는 혼잡이 우려되지만 중앙차로제가 정착되면 버스는 물론 일반 차량도 버스와의 뒤엉킴 현상이 줄어들어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며 "하정로의 경우 중앙차로제 실시 이후 버스는 시속 20.0㎞에서 29.1㎞로 향상됐고 일반차량도 시속 19.1㎞에서 21.0㎞로 나아졌다"고 말했다.
이밖에 중앙차로제는 차로 확보를 위해 보도폭을 줄인 곳이 많아 시민 보행권이 침해됐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예정보다 한달이상 늦게 착수한 강남대로, 수색·성산로 중앙차로공사가 일정에 맞추느라 무리하게 진행되고 있어 안전사고도 우려되고 있다.
/이성원기자
sungwon@hk.co.kr
■가로변 버스차로도 적색포장
서울시는 7월 버스체계개편에 맞춰 현재 운영중인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에도 중앙버스전용차로 처럼 붉은 색 아스팔트를 포장한다고 1일 밝혔다.
시는 "적색 포장으로 쉽게 눈에 띄게 해 버스 외 일반 차량은 진입하지 못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또 일반차량의 진출입이 가능한 버스전용차로 점선구간을 일부 축소하는 한편 가로변에 무인 감시카메라를 확대 설치해 전용차로 위반을 강력 단속할 계획이다. /이성원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