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집권2기 개각 계획에 숱한 잡음이 나오고 있다. 이번 개각은 총선 승리와 탄핵안 기각에 따른 국정의 진용을 새로 짜려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 논의 내용들이 하나같이 매끄러운 게 없다. 새 총리 인선문제가 여당 내에서부터 문제시되는 모양이니 보기 사납고, 바뀌는 장관 자리를 두고 벌어지는 여권 실력자들의 권력다툼도 그저 넘길 일이 아니다.필요가 있으면 개각은 해야 한다. 국정을 위한 개각이라면 열 번이라도 왜 못하겠는가. 그러나 이 개각은 왜 하는 것인지 당위성을 상실하고 있다. 발상과 실행과정이 섣부르기 짝이 없다. 총리 교체가 일찍이 기정사실화돼 고건 총리는 사의를 표했으니 그에게 새 장관의 제청을 요구하는 것은 법 정신과 원칙을 빗겨 가는 변칙이라는 점을 거듭 지적한다.
장관인사 같은 중대사에 변칙을 쉬이여기는 것은 시대 역행이자, 비개혁적이다. 고 총리 본인이 자신의 장관제청은 무리라는 생각이라면 이를 존중하는 것이 순리다. 여기에 불편이 따른다면 이는 감수하는 게 맞다.
통일 문화관광 보건복지부 등 3개 부가 개각 대상인 이유도 미덥지 않다. 더욱 마땅치 않은 것은 열린우리당 정동영 전 의장과 김근태 전 원내대표가 통일부 장관 자리를 놓고 다투는 듯한 모양새다. 직무를 놓고 사람을 거론하는 것도 아니고, 정치 상황과 동기에 따라 인선이 왔다갔다한다고 하니, 장관직 알기를 뭘로 아는 것인지 실력자들이 벌이는 꼴이 큰 실망감을 주고 있다.
후임 총리로 사실상 내정 상태에 있다는 김혁규 전 경남지사의 적격성 시비도 결코 편안치 않다. 행정력과 정치적 자질, 국정의 안정과 여야 상생의 정치를 두루 포괄하는 인선이 되는 게 나라에 이롭다. 그렇지 못하면 또 대가를 치르게 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