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모임(학사모)이 부적격교사들의 명단을 발표한 동기는 학습권 침해교사들을 배제함으로써 학교 정상화에 기여하려는 취지로 이해할 수 있다. 현장 조사와 자문위원회 회의를 거쳐 대상자를 선정했다니 나름대로 명분과 근거가 있다. 지적된 부적격 사유는 교사가 아니라 일반인으로서도 용납될 수 없는 내용인 경우가 많다.그러나 선정기준과 개별 사안에 관한 판단에 대해서는 이의가 제기될 수 있다. 특히 형사적 문제는 다툼이 생긴다. 또 같은 무단결근자라 해도 그 사유에 대한 개별적 해석은 달라질 수 있다. 당연히 파장이 만만찮을 것이다. 그들이 현직교사인 한 명단 공개는 결코 교육적이지 못한 일이다.
학사모의 사회적 기여사실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학사모는 2년 전 본격 활동을 시작한 이래 전교조의 조퇴투쟁에 제동을 걸었고, 4·15총선수업을 감시했으며, 수능시험 자원봉사 등을 통해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해 애썼다. '우리 손으로 교육을 살리자'는 교육 이해당사자들의 활동은 시민사회의 역량이 결집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명단 발표는 지나쳤다. 문제교사를 징계하거나 추방하는 것은 공적 시스템에 의해 수행돼야 한다. 교육부가 추진 중인 교사평가제는 문제교사 퇴출과 교단분위기 일신을 위한 것으로 이해되는데, 학부모들을 교사평가에 참여케 한다는 설만으로도 교단은 시끄럽다.
학부모들의 교단감시활동이 교육당국에 자료를 제공하고 조치를 촉구하는 차원에 머물렀더라면 더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학부모들까지 최근 확산된 명단 공개대열에 가세해 앞으로 집단적 무단결근자들의 명단도 발표한다면 파장은 더욱 커질 것이다. 오죽하면 이랬겠느냐고 말할 수 있겠지만, 그래도 공적 시스템을 통해야 한다. 그것이 학교를 더 사랑하는 방법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