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로 진출한 교수들이 많아 강의에 차질이 빚어지고 학생들의 교육받을 권리가 침해되는 현상은 바로잡아야 한다. 선거 때만 되면 지적돼 온 문제가 이번에 특히 두드러지게 부각된 것은 4년 전보다 8배나 많은 31명이 금배지를 달았기 때문이다.법적으로 보장된 교수들의 정치참여를 나무랄 수는 없다. 대학과 현실정치의 교류는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문제는 학기 중의 대학 이탈로 학생들은 물론, 동료 교수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다. 선출직이든 임명직이든 공직을 맡게 되더라도 교수들의 신분은 여전히 교수다. 임기가 끝난 뒤 이들이 복귀하기까지 대학은 여러 가지 불편을 겪게 된다. 대부분의 대학이 휴직을 허용하고 있어 사실상 결원상태인데도 신규 임용이 어려워진다.
더 나쁜 것은 교수직을 정계 진출의 발판으로 이용하는 양식없는 자세다. 다 그렇지는 않지만, 정계에 진출하는 교수들의 성향은 원래 정치지향적이다. 그런 사람들이 정치적 의도를 감추거나 위장한 채 활동하다가 특정 정당의 의원이 되고, 임기만료 후 아무 장애 없이 제 자리로 돌아가니 이처럼 편한 직업도 없을 것이다. 정권의 편의에 의해 정·관계로 교수를 끌어들이는 현상이 5공화국 이래 정착되면서 대학의 권위와 순수성은 많이 훼손된 상태다. 이번엔 공천심사를 맡은 교수가 자신을 후보로 선정해 당선된 사례까지 있다.
일반 공직자처럼 교수들에 대해서도 선거일 일정기간 전에 거취를 결정토록 의무화해 최소한 학기 중 장기휴강을 하고 출마하는 일은 없게 해야 한다. 휴직·복직 요건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낙선교수들의 교단복귀에 대해서도 최근 여러 대학에서 부정적인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교육부든 대학 차원이든 교수들의 정치참여에 관한 일정한 지침을 만들어 시행하는 것이 좋겠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