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속철도(KTX)가 내일부터 공식 상업운행에 들어감으로써 우리나라가 본격적인 고속철 시대에 진입하게 됐다. 착공 12년 만에 개통되는 고속철은 1899년 서울-제물포간 경인선 개통 이후 105년 만의 대도약으로, 속도혁명과 함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방위에 걸친 혁명적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한반도종단철도(TKR) 중국횡단철도(TCR)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연계될 '철의 실크로드'의 첫발을 내디뎠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시속 300㎞로 운행될 고속철은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압축시키면서 엄청난 변화를 몰고 올 것이다. 정부는 고속철 개통에 따른 물류 및 교통체계의 혁명이 인구의 지방분산, 기업의 지방이전을 촉진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국토의 균형발전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로 중심이던 물류체계도 철도 중심으로 전환돼 철도가 국가 기간교통망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고속철이 가져올 역작용 또한 만만치 않다. 민간경제연구소가 지적했듯 고속철 출발·종착역이 있는 대도시나 주요 정차 도시는 역세권을 중심으로 발전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도시는 위성도시로 전락해 오히려 도시간 빈부격차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서울 출퇴근이 가능한 대전·천안의 경우도 중심생활권이 아예 서울·수도권으로의 옮겨질 것이란 부정적 분석도 나오고 있다.
긍정적 효과는 그냥 놔둬도 되지만 역작용은 방치할 수 없다. 인위적 정책개입으로 역작용을 해소하는 일은 정부 몫이다. 사소한 사고도 대형 참사로 이어질 소지가 크기 때문에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함은 물론이다. 작은 문제 같지만 고속철 개통과 함께 지방도시를 연결하는 열차의 감축운행으로 생기는 이용자들의 불편도 마땅히 해소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