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자 감소로 피가 모자란다고 아우성인 판에 있는 혈액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니 복지부와 대한적십자사는 무엇을 하는 기관인가. 에이즈 환자가 아무 장애 없이 헌혈을 할 수 있을 만큼 혈액 수집과정이 허술해 양성판정을 받은 사람의 피가 시중에 유통됐다니 놀라운 일이다. 간염 양성자 30만여명의 전산기록이 누락돼 이들이 헌혈한 7만여건도 유통되고 9명이 감염됐다고 한다.오래 전부터 이런 문제점이 간헐적으로 지적돼 왔는데도 개선되지 않는 이유는 혈액관리사업의 시스템 자체가 낙후돼 있기 때문이다. 우선 혈액원의 검사시스템을 믿기 어렵다. 에이즈 바이러스의 검사 정확도가 80% 정도에 불과한 터에 전국 16개 혈액원의 서버가 서로 달라 정보교류마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선진 검사기법을 도입하고 시스템을 충실하게 정비해도 시원찮을 판인데, 기본 인프라도 마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런 상황이니 채혈 검사 운송 보관 등 혈액관리 과정에서의 부주의 등으로 연간 1만건 이상의 혈액이 폐기된다 해도 결코 놀라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의료기관에서는 수혈 전에 기본적으로 실시해야 할 혈액형 검사조차 하지 않는 곳이 많아 수혈사고와 부작용이 자주 빚어진다. 1,000명에 1명 꼴이라는 수혈 부작용사례는 세계적으로 창피한 수치다. 수혈이 필요한 환자들이 안심하고 피를 받을 수 없다면 혈액관리사업이라는 말도 꺼내지 말아야 한다.
혈액안전의 확보대책이 시급하다. 한적의 혈액검사 능력을 높여야 하고, 의료기관과의 정보 교류와 수혈 후 추적시스템을 확립해야 한다. 복지부의 혈액사업 감시장치도 정비해야 할 것이다. 어제 복지부는 관리·감독체계 개선과 혈액원 개설허가제 도입, 혈액 안전 전담조직 신설등의 대책을 발표했는데 제대로 추진되는지 두고 볼 일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