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 17일 앞으로 다가왔다. 주요 정당은 당을 선거체제로 전환했고, 이틀 후면 후보등록이 시작된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의결이 몰고 온 극심한 국론 분열과 감정 대립이 총선에 연장되는 것은 어느 모로 보나 바람직하지 않다. 친(親)탄핵과 반(反)탄핵 및 친노와 반노로 사회가 양분되는 것은 자칫 총선의 진정한 의미를 퇴색케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총선은 견제와 균형이라는 민주주의 원칙에 따라 입법부 구성원인 국회의원을 뽑는 것이며, 대의정치에 입각해 유권자의 목소리를 가장 성실하게 대변할 수 있는 사람을 고르는 것이다.어느 후보가 대한민국의 앞날을 보다 책임질 수 있고, 시대의 화두인 정치개혁과 국민을 불안케 하는 불투명한 민생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임자인지를 냉철하게 보아야 한다. 이번 총선부터는 1인 2투표제가 도입된다. 한 표는 후보에게 찍고 한 표는 지지정당에 찍는다. 정당투표는 비례대표의원 배분에 정확히 반영된다. 유권자 선택의 폭이 그만큼 넓어졌다.
탄핵정국은 헌법재판소가 법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심판을 진행 중이고, 적법성 논란을 촉발했던 시민단체의 '촛불집회'도 27일로 마무리됐다. 모두가 평상심으로 돌아가 총선의 진정한 의미를 새기며, 선택의 날에 대비하는 게 옳다.
국민들은 16대 국회가 정쟁으로 바람 잘 날 없었고, 똑같이 국민의 손으로 선출된 헌법기관인 대통령과 국회가 감정적으로 맞서는 장면을 감내해야 했다.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는 혹독하게 매도당했고, 정치에 대한 혐오는 극에 이르렀다. 이로 인한 손해와 기회비용 지불은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었다.
이제 유권자들은 정치가 국가발전의 발목을 잡는다고 탓만 할 게 아니라, 현명한 선택을 통해 정치가 새 장을 열 수 있도록 해 줘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