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품의 관건은 과연 관객이 졸 것인가, 아닌가 이다."'뇌우' 시연회를 열면서 국립극단 예술감독이자 '뇌우'의 연출가 이윤택이 던진 말이다. 장장 4시간30분이나 되는 연극에 관객이 얼마나 호응할 수 있을까. 중국 격동기의 어느 초 여름날 하루가 극의 전부이니 한국의 상황도 아니고 현대적인 소재도 아니다. 그러나 '뇌우'는 번개와 돌풍과 강한 빗줄기가 되어 보는 이의 가슴을 때린다.
'동양의 입센'으로 불리는 중국의 천재작가 차오위(曹禹·1910∼1996)가 24세에 쓴 처녀작에는 어머니와 의붓아들의 비극적 사랑을 다룬 라신의 '페드라'나 유진 오닐의 '느릅나무 밑의 욕망'을 보는 듯한 강렬한 드라마가 숨쉰다.
자본가인 주씨 집안과 주씨 집에 고용되어 일하는 노씨 집안의 대립이 작품의 축을 이룬다. 매판자본가인 주복원(권성덕) 가문과 주씨의 머슴인 노귀(오영수) 집안의 계급적인 갈등과 노씨의 딸 사봉을 두고 다투는 주씨네 두 형제의 갈등, 여기에 아들 주평(서상원)과 의붓어머니인 주씨 부인 주번의(이혜경) 사이의 애증이 맞물려 있다.
극을 여는 것은 노귀와 그의 딸 노사봉(곽명화)이다. 딸에게 노름할 돈을 꿔달라는 파렴치 아버지의 너스레와 딸의 지청구 속에 서린 주씨 집안의 음울한 그림자가 객석에 드리운다. 관객은 근친상간과 애욕으로 얼룩진 주씨 집안의 내력을 눈치채며 장차 벌어질 파국의 분위기를 감지한다. 딸을 데리러 온 노시평(권복순)의 정체는 뭘까. 노동자 대표로 주복원에게 따지러 온 노대해(노석채)의 살기등등함에는 왜 불길한 느낌이 드는 걸까. 관객으로 하여금 등장인물 8명의 내막을 추리하게 만드는 대본에는 긴장감이 가득하다. 너무 팽팽하게 조여진다 싶을 때면 노귀를 등장시켜 관객을 무장해제하는 익살도 빠뜨리지 않는다.
그러나 이 작품의 진정한 주인공은 파란만장한 인생을 헤쳐가는 노시평과 주번의다. 억센 생활력과 의지로 기구한 운명을 감당하는 두 여성의 목소리는 깊은 공명을 자아낸다.
1950년 국립극단 공연시 1,180석 부민관 통로까지 가득 메운 이유가 있다. "배우가 물에 잠길 정도로 원 없이 쏟아지는 비"(이윤택)의 특수효과와 더불어 4월1일부터7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이종도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