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부동산 큰손들 사이에서 서울 강남을 대체할 신흥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주택거래신고제 도입, 투기지역 확대, 양도세 인상 등 부동산 투기 억제책이 잇따르면서 부동산 투자가들과 투자 법인들이 앞다퉈 규제가 덜한 중국으로 몰려가고 있다. 최근 부동산뱅크 등 부동산 정보제공업체에는 중국 아파트 구입이나 임대형 투자를 문의하는 투자자들의 전화가 쇄도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아예 중국의 아파트 매물 사진과 가격을 자사 사이트에 올려놓고 직접 투자자들을 모으고 있다.상하이 푸둥(浦東)에서 부동산 중개소를 하는 신무철씨는 "요즘 상하이(上海), 칭다오(靑島)는 복부인이 설치던 1980년대 같은 분위기"라며 "88서울올림픽 이후 국내 부동산이 뛰었듯 중국도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0년 상하이 엑스포 전까지는 부동산 가격이 폭등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국내 투자자들이 무더기로 몰려들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아파트 값 급등이 매력
중국은 2년 여 전부터 토지가 아닌 건물의 외국인 소유를 인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하이의 경우 아파트 가격이 매년 100% 가량 폭등했다. 당시 아파트를 구입한 몇몇 상사 주재원들과 교민들이 이를 통해 많은 차익을 남겼고, 국내 부동산 업계에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중국 부동산 투자 붐이 일기 시작했다. 국내 기업들이 다수 진출한 칭다오에서는 "한국 사람들이 땅 값을 2배 이상 올렸다"는 비난을 받을 정도다. 국내 아파트 시행사였던 SR개발은 중국 선양(瀋陽)시 훈남(渾南)신구에 아파트 10개 동과 상사·오피스텔 2개 동을 짓기 위해 3년 전 12만평을 구입했는데 분양하기도 전에 현재 땅 값만 13배가 오르는 대박을 터뜨렸다.
적은 투자로 고수익
국내에 비해 유리한 중국의 주택 구입 조건도 투기 붐에 한 몫을 했다. 중국에서는 구입시 총액의 70%를 최장 15∼20년까지 연 5%의 이자로 대출해 준다. 상하이 인기 주택가인 푸둥의 경우 40평형대의 아파트는 한화로 2억5,000만∼3억원 수준. 1억원 정도의 현금만 있으면 당장 살 수 있는 셈이다. 잔금은 원금과 이자를 포함해 매달 70만∼80만원씩 20년간 나눠 내면 된다. 이 아파트는 매달 120만∼130만원의 월세를 받을 수 있어 대출 원리금을 제외하고도 매달 30만∼40만원의 수입을 올릴 수 있다. 여기에 매년 집값이 20% 이상 오르는 것까지 감안하면 엄청난 시세차익을 올릴 수 있다. 중국은 건물 구입시에만 3%에 달하는 세금이 부과될 뿐 매도 시에는 국내와 같은 양도세가 없어 세금 부담도 훨씬 적다는 것도 장점이다.
수익성 만큼 위험도 높다
그러나 부동산 투자 전문가들은 "투자의 매력이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만큼 위험도 높다"고 충고한다. 중국은 '외국환관리규정'에 따라 현지에서 2년 이상 거주한다는 근거가 있어야 미화 30만 달러(약 3억5,000만원)까지 국외로 송금할 수 있다. 그러나 중개 브로커들은 약간의 수수료만 내면 1억∼2억원 정도는 현지 교민 계좌를 통해 얼마든지 가져올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이 같은 송금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더구나 자칫 잘 못하다가는 재산을 강제 수용당하는 낭패를 볼 수도 있다.
/송영웅기자 heros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