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는 강북의 S찜질방. 겉보기에도 중급 호텔을 연상케 하는 이 찜질방의 연면적은 8,000평이 넘는다. 지하 1층 지상 3층에 최대 5,000명 동시수용이 가능하다. 안으로 들어서면 '아방궁'같은 호화시설이 눈에 들어온다. 황토다이아몬드방, 비취보석불가마 등 10개의 대형 한증막에 골프연습장, 헬스장, 영화감상실까지 갖추고 각종 강습회까지 연다. 이 업소의 하루 평균 고객은 3,000명 안팎으로 한 달 수입은 6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업소가 사용하는 가스, 전기 등 에너지는 매달 1억2,000만∼1억3,000만원. 지난 1월의 에너지 비용은 700병상이 넘는 인근 종합병원(19층)을 능가했다. ★관련기사 A3면찜질방의 대형화, 초고급화 추세가 급속 확산되고 있다. 찜질방은 서민들이 적은 비용으로 쉴 수 있는 공간이라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기능이 적지 않다. 주말은 물론 평일에도 친구, 가족 단위로 이용객들이 찾아 친목과 재충전의 시간을 갖는다.
그러나 찜질방이 '자유업'으로 분류돼 사실상 방치되고 초대형 업소들이 난립하면서 에너지 과소비는 물론 안전, 위생관리 부실 등의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1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현재 전국의 찜질방은 모두 1,353곳으로 집계됐다. 경기가 237곳으로 가장 많고 서울 135곳, 경북 131곳, 경남 130곳 등이다. 이는 2001년 12월 924개소에 비해 400곳 이상 증가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미 1,500여곳이 넘는 찜질방이 운영 중이며 올 연말에는 2,000곳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수적인 급증추세와 더불어 대형화하면서 건축비가 100억원 안팎에 달하는 기업형 찜질방들이 속출, 에너지 과소비 업종으로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찜질방은 허가없이 신고만으로 영업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위생 등과 관련한 별도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소비자보호원이 지난해 초 서울시내 찜질방 20곳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화상 등 각종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전국의 40개 찜질방을 대상으로 실시한 표본조사에서도 위험물 안전기사나 가스, 보일러, 전기기사를 고용한 비율이 40%에도 못 미쳤다.
실제로 안전사고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해 1월 이후 찜질방에서 잠을 자다 숨진 사고가 4건에 이르고 대구, 진해 등에서는 유독가스 질식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보건사회연구원 정기혜 박사는 "찜질방들이 화려한 겉과는 달리 속으로는 병을 앓기 시작했다"며 "이용객들의 안전을 위해 하루속히 관련 규정을 마련하고 제도권으로 흡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범구기자 goguma@hk.co.kr
박상준기자 buttonpr@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