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 축구팀의 서울 연고 이전 작업이 파행으로 치닫고 있다. 연고 구단 선정 권한을 놓고 서울시와 프로축구연맹의 갈등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자칫 2004 K리그 개막(4월3일)을 앞두고 파행운영의 우려를 낳고 있다. 서울 입성을 둘러싼 논란의 핵심은 선정 주체가 누가 될 것인가와 경기장 건립분담금 150억원 문제를 어떻게 풀 것 인지로 집약된다.서울 프로축구팀 출범 명분 충족
서울시는 11일까지 안양과 부산의 의향서를 받고 안양을 '낙점'한 의향서를 연맹에 제출했으나 거부당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안양이외의 다른 팀이 선정될 경우 운동장 사용협약을 거부할 수도 있다"며 배수진을 치고 있다.
하지만 프로축구 규약상 연고 이전과 창단 승인권은 각 구단들의 의사결정 집합체인 연맹이사회가 갖고 있다. 문제해결의 실마리는 프로축구의 발전이라는 대명제에서 찾아야 한다. 한 팀은 탈락해야 하는데 과연 탈락한 팀이 팀을 유지할 것인가, 팬들의 분노는 어떻게 잠재울 것인가 등은 서울시와 무관한 일이다. 어차피 후유증은 협회와 연맹에게 돌아온다. 따라서 연고팀 결정의 권한은 연맹이사회가 행사해야 한다. 그렇게 되더라도 어쨌든 '수도 서울에 프로축구팀이 있어야 한다'는 서울시의 명분은 충족되기 때문이다. 물론 연맹 이사회에서 결정해도 부작용이 따르겠지만 서울시가 결정하는 것보다는 충격파가 덜 할 것이다. 책임이 있는 곳에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면 당연히 결정권은 연맹이 행사해야 한다. 물론 연맹이 선정할 때는 지자체의 의견을 가장 존중해야 한다. 외국의 선례를 보더라도 연고팀 선정에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전제 조건으로 작용해 왔다.
협회, 연고금문제 꼬이게 한 책임
협회와 연맹은 '건설분담금은 서울 입성팀이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동안 언론과 협회 홈페이지 등을 통해 협회가 서울팀 유치를 위해 분담금 중 100억원을 지원했다는 것을 기정사실화 됐는데도 반박하지 않다가 뒤늦게 '대납'이라고 주장, 문제를 꼬이게 한 책임이 있다. 협회는 75억원으로 한 발 물러섰지만 안양은 "50억원으로 알고 결정했는데 이제 와서 말을 바꾸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맞서고 있다. 협회와 연맹은 서울팀 창단을 월드컵 4강 이후 서두르지 못한 책임도 면할 수 없다. 협회가 '대납'했다는 100억원이 월드컵 잉여금이라면 대표팀을 구성하는 프로팀이나 서울시민에게 돌려주는 것도 실마리를 푸는 방법이며 프로축구의 파행을 막는 길이다.
안양은 한때 서울연고팀이었다. 그런데 축구의 지방활성화라는 명목으로 내쫓으면서 '경기장을 건설하는 팀에게 서울연고권을 주겠다'는 터무니없는 족쇄를 단 게 바로 연맹이었다. "결자해지 차원에서 연맹은 안양의 기득권을 인정해야 하며, 연고금은 한 푼도 안내도 된다"는 모 구단 단장의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여동은기자 deyu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