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뢰혐의로 구속기소된 안상영 부산시장이 부산구치소에서 목을 매 자살한 것은 충격적이다. 민선시장으로 1만5,000여 부산시 공직자를 지휘했던 그의 죽음은 많은 것을 생각케 한다. 법무부가 대규모 진상조사단을 급파했고, 수감됐던 부산구치소 의료병동에서 일기장과 메모지가 발견됐다니 조만간 구체적 진상이 밝혀질 것이다.하지만 민선 두 번을 포함해 부산시장을 세 번이나 역임했고, 40년 이상을 공직에 봉사해 온 그가 비극적인 방법으로 삶을 마감한 선택은 분명 옳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자신에 대한 사법처리가 무리하다면 법정에서 투쟁했어야 했고, 잘못이 있으면 공인으로서 상응한 책임을 지는 게 정당한 처신이었을 것이다.
안 시장은 지난해 10월 한 기업으로부터 1억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고, 이어 한 버스회사로부터도 3억원을 받은 것이 추가로 불거지자 서울구치소로 옮겨져 조사받다가 부산구치소에 재이감 됐다. 검찰은 안 시장이 사망하자 두 사건을 내사종결과 공소기각 결정으로 종결했다. 자살이라는 극단적 방법이 사건의 마무리로 귀결되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안 시장의 자살이 생활고 등으로 인한 가족 집단자살의 급증 등 우려되는 생명 경시풍조에 영향을 줄까 걱정된다. 사회지도급 인사의 행태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자살은 어느 경우에도 문제해결의 수단이 될 수 없으며, 무책임한 선택이라는 비난을 면할 수 없음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정치권이 안 시장의 자살배경을 놓고 왈가왈부하는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 고인에 대한 예의도 아니고, 죽음까지도 정쟁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다. 말을 아끼면서 진상규명의 추이를 지켜보는 금도가 있어야 겠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