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물가가 심상치 않다. 경기가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도 물가는 크게 뛰고 있다. 1월 소비자 물가는 지난 달에 비해 0.6%,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올랐다. 생필품을 중심으로 한 생활물가지수는 전달보다 0.9%, 지난해 1월에 비해서는 무려 4.3%가 뛰어 서민들의 부담은 그만큼 더 커졌다.정부는 설 수요와 광우병 파동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전망은 결코 낙관적이지 않다. 물가 상승 요인이 곳곳에 널려있다. 최근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국제 원자재 가격의 여파가 조만간 가시화할 것이고, 대학 등록금과 학원 수강료 , 도시가스 요금 등 공공요금 등도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원유가격도 큰 문제다. 이런 추세라면 우리 경제가 경기는 좋지 않은데 물가는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에 진입해 장기 불황에 빠질 우려가 있다.
문제는 마땅한 대책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내수가 극도로 위축된 상황에서 수출 촉진을 위해 환율을 높게 유지하고 있는 정부 정책이 우선 물가에는 악영향을 끼친다. 무리한 환율 정책의 부작용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박승 한국은행 총재는 하반기에는 설비투자와 민간소비가 늘어나 물가 상승압력이 높아질 것이라며 인플레 압력에는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현 정책 기조를 보면 과연 물가를 잡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피부로 느끼는 경기가 외환위기 때보다 더 나쁜 상황에서 물가마저 급등하면 소비는 더욱 위축되고 경제는 더욱 깊은 수렁에 빠지게 된다. 물가 상승을 어쩔 수 없는 외부 요인으로 돌릴 것이 아니라 상승 요인을 최대한 흡수하려고 하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요구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