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반환되는 용산미군기지를 시민의 숲이 아닌 국립공원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해 논란이 예상된다.이명박 서울 시장은 18일 "120년 만에 돌아온 용산 미군기지는 7,000만 국민의 입장에서 민족의 주체성을 찾을 수 있는 국립공원으로 지정,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는 용산에 조성될 공원의 비용을 시가 정부에 전적으로 떠넘기려는 것으로 미군기지 부지를 팔아 이전비용을 대려는 국방부 등 정부의 계획과 어긋나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시는 "당초 용산기지를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 등과 같은 시민들의 대중 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었지만 용산 땅의 기구한 역사를 반영해 민족의 주체성을 찾는 의미에서 국립공원으로 조성, 국민들에게 돌려준다는 입장으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시는 미군기지 이전이 완료되는 즉시 행정자치부 및 건설교통부 등과의 협의를 거쳐 국립공원 지정 및 조성을 위한 절차를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1989년 도심 한가운데 미개발지인 용산미군기지에 대규모 자연 휴식공간을 조성하는 '민족공원' 구상을 처음 밝힌 후 91년 '민족공원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또 지난해 발표한 2020 도시기본계획에서 용산기지 공원화를 통해 북한산―남산―한강―관악산을 잇는 중간 녹지축으로 보전하는 방안을 명시했었다.
그러나 서울시의 뜻대로 용산기지의 국립공원화가 진행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용산 부지의 소유권을 갖고 있는 국방부는 이 땅을 팔아 최소 30억 달러(약 3조6,000억원)에 달하는 미군 기지 이전 비용을 해결할 계획. 국방부는 용산 기지 일부를 아파트 부지 등으로 매각하거나 전체를 공원화할 경우에는 시가 그에 상응한 가격으로 사줘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시가 지하철 녹사평역 인근 용산 미군부지로의 시청사 이전 계획을 완전히 철회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원 조성과 관련 정부에게 모든 부담을 지우겠다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비난이 예상된다.
한편 시는 용산기지가 반환되면 동작대로와 용산구 이촌1동을 연결하는 동작대교의 북단 도심 연결도로 건설을 재추진할 예정이다. 84년12월 완공된 동작대교는 설계 당시 다리 북단에서 후암동 용산 중·고교사거리까지 진입도로를 건설할 계획이었지만 용산기지를 통과하지 못해 무산됐었다. 시는 신설 도로는 녹지 훼손을 막기 위해 최대한 지하구간으로 건설할 방침이라고 밝혔지만 북단 연결지점이 용산가족공원내 호수구역이고 국립중앙박물관 바로 옆을 지나가게 돼 있어 고가나 지하차도 방식 모두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성원기자 sungw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