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14일 '한국 신용카드산업의 부실이 은행권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한국 금융권의 부실자산이 보고되지 않은 잠재부실까지 고려하면 약 124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국내 총생산(GDP)의 20%, 금융권 총 여신의 12%에 달하는 규모로, 국내 금융당국에서 공식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고정이하여신(3개월 이상 연체) 비율의 3.5배에 달한다.S&P는 지난해 말 현재 19개 국내 은행의 여신 721조원 가운데 7.3%(52조6,000억원)를 부실자산으로 분류했다. 이는 금융감독원이 집계한 은행권 부실자산 비율 3.3%의 2.2배에 달한다. 또 신용카드사의 부실자산은 35%이며, 저축은행과 증권·투신사는 각각 30%, 25%로 추정했다.
S&P는 "제도금융권에서 금융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밀려난 개인 고객들은 50조∼100조원 규모의 사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사금융권의 부실채권비율도 30%로 추산했다.
한편 S&P는 "LG카드 사태가 한국 정부의 신용등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겠지만, 신용카드 부실이 예상보다 심각해 7개 국내 신용카드사를 정상화하려면 최소 9조원을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재학기자 goindol@hk.co.kr
그러나 금융감독원은 이에대해 S&P가 요주의 여신까지 부실 채권(고정이하 여신)에 무리하게 포함시킨 결과로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금감원은 S&P가 국내 은행의 부실 채권 규모를 추정하면서 요주의 여신까지 부실 여신에 포함시켜 부실 채권 비율을 7.3%로 산정했으나 9월말 현재 국내 은행의 부실 채권 비율은 3.26%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최근 2년간 요주의 여신으로 분류된 가계대출 가운데 15% 정도만 1년이내에 부실 여신이 되고 기업의 요주의 여신도 대부분 정상적으로 원리금을 납입하고 있지만 미래 상환 능력을 분석해 요주의로 분류하고 있을 정도로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