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복 입은 선생이 돌아 다니던 곳, '선도'라는 아름다운 이름으로 폭력이 권장되던 곳, 덩치 작은 놈은 눈을 내리깔든지 '빽'이라도 있어야 얻어 터지지 않던 곳. 오로지 수컷의 공격 근성만이 넘실댔던 그곳, 학교. 유신시대의 끝 자락인 1978년, 부동산투기 바람이 시작된 말죽거리의 그런 학교 이야기가 이름하여 '말죽거리 잔혹사'다. '결혼은, 미친 짓이다'에서 결혼의 정치경제학을 맨살로 드러냈던 유하 감독은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자신의 고교 시절인 1978년으로 돌아가 '우리들의 청춘'을 복기한다. 그는 또 영화 감독이 된 자신을 통해 시인으로서 썼던 시들도 복원한다. '복고' 대신 '복기' '복원'이란 말이 어울리는 것은 다른 '추억 상품'과 달리 수컷의 본성과 갈등을 부추기는 학교, 시대의 모습이 세월의 너그러움으로 포장되지 않은 채 생생하게 들어 있기 때문이다.<…매맞고 침묵하는 법과 시기와 질투를 키우는 법…경멸하는 자를 짐짓 존경하는 법…그런 많은 법들 앞에 내 상상력을 최대한 굴복시키는 법> (유하 시 '학교에서 배운 것')
현수(권상우)가 전학 간 말죽거리 정문고가 그랬다. 선도부장 종훈(이종혁)은 교련선생으로부터 '힘'을 부여 받았고, 권력의 하수인이 그렇듯 마구잡이로 그 힘을 휘둘렀다. 그는 주먹 '짱'인 우식(이정진)과 최대의 라이벌. 아이들은 주먹으로 그들끼리 서열을 만들고, 학교는 성적으로 우열을 매겼다. 비록 이소룡의 '절권도의 길'을 애독하고 아버지가 태권도장 원장이었지만, 소심한 현수는 그저 적당히 눈을 깔고 지냈다. "싸우기 싫어요. 해본 적도 없고." 현수는 포르노 책 파는 녀석, 야바위 하는 녀석, 장군 아버지 빽 믿고 야비하게 구는 녀석들과 그렇게 지냈다.
<나도 네 이름을 간절히 부른 적이 있다 돌이켜보면, 결국 내가 내게 깊이 취했던 시간이었다> (유하 시 '나도 네 이름을 간절히 부른 적이 있다') 나도>
여자들은 왜 자신을 함부로 대하는 남자에게 모든 것을 주지 못해 안달일까. 현수의 좌절은 태반이 은주(한가인) 때문이다. 현수는 조바심하며 조심조심 다가서려 했지만, 벽을 치며 남자다움을 과시하는 우식의 '한 방'에 은주는 몸과 마음을 다 주었다. 현수와 우식은 은주 때문에 사이가 멀어지고, 종훈에게 패한 우식은 "쪽 팔리면 학교 생활 쫑"이라는 소신대로 학교를 자퇴하고 은주와 가출한다. 현수의 학교 생활은 더욱 힘들어지고, 그는 결국 '이소룡'이 되기로 한다. 옥상에서 종훈 일당을 격파한 후 그는 이렇게 외친다. "대한민국 학교 다 X까라 그래!"
'말죽거리 잔혹사'는 우정과 사랑이라는 70년대 청춘 영화의 틀에 기대면서도 시대의 권력 담론을 세밀화로 그려냄으로써 '청춘 영화' 카테고리를 성큼 벗어났다. 소심한 소년이 '이소룡 판타지' 속으로 빠져드는 과정을 통해, 누구도 야만의 시대를 피할 수 없음을 설파한다. 남자다움에 깃든 비굴함과 소심함에 깃든 광기 등 인물의 성격이 살아있다.
영사운드의 '등불', 아비·진추하의 '원 섬머 나이트', 서금옥의 이브의 연가, 통기타로 처음 치는 '너의 침묵에∼', 빨간책 '마성기와 견질녀' 같은 70년대 추억거리는 30·40대를, 권상우 한가인 등 인기 배우의 고른 연기는 10·20대를 열광하게 한다.
나이 어린 여성들의 아이콘이었던 권상우는 이 영화를 통해 장동건을 위협하는 '미남 배우'로 떠오를 것 같다. 앳된 얼굴, 어눌한 말투는 견고한 복근과 대조를 이루며 한 몸에 소년과 남성이 공존하는 느낌을 전한다. 배우의 대사에 토씨 하나의 여유도 허락하지 않은 감독의 고집은 역으로 많은 대사를 애드립처럼 들리게 하는 자연스러움을 획득했다.
'친구'보다 아련하고, '살인의 추억'만큼 시대를 제대로 복기한 '말죽거리 잔혹사'는 십수년만에 들춰보는 옛날 일기장같다. 눈물이 틀림 없었을 자국 위에 버거웠던 청춘이 또박또박 새겨져 있는 그런 일기장. 한국 영화로 올해 처음 개봉되는 '말죽거리 잔혹사'는 첫 선물 치고 아주 커 보인다. 16일 개봉.
/박은주기자 jupe@hk.co.kr
"말죽거리 잔혹사" 유하 감독
"옛날 일기장을 보니 '매일 학교 가는 게 죽는 거보다 싫다'고 써 있었다. '덩치 큰 놈이 소심하긴' 하는 소리가 듣기 싫어 주먹질을 했다가 아버지가 학교에 와서 무릎을 꿇어야 했다. 늘 걸어나가는 꿈을 꾸었다. 그걸 영화로 구현했다."
이제 유하(41) 감독은 '시인 출신 감독'보다 '말죽거리 잔혹사의 감독'이라는 수식이 어울릴 것 같다.
― 왜 학교인가? 진짜 괴로웠나?
"실제 겪은 것보다 완화해서 표현했다. 보편성을 갖고 싶어서. 노래방이 노래를 망치고, 학교가 학교를 망치는 것 아닌가. 우리의 학교는 수컷의 사악한 본성을 부추겼다. 70년대 '얄개' '진짜진짜 좋아해' 같은 영화에서는 동시대 이야기가 없었다. '국가의 불행, 시인의 행복'이란 말이 있다. 억압의 시대에 대한 상상을 통해 그 시대를 다시 기록하는 것은 시인―창작자의 책무 중의 하나다."
― '세운상가 키드의 생애' '바람부는 날엔 압구정동에 가야한다' '말죽거리 잔혹사'… 왜 지명에 집착하나. 옛 기억에 너무 빠지는 것은 아닌가.
"나의 시원의 체험, 핵 체험은 70년대 세운상가에서 시작됐다. '압구정동…' 역시 세운상가의 경험에서 많이 떨어지지 않았다. 역사는 진화하지만 진보하지는 않는다. 지나갔다고 올드한가? 영사운드 노래 '등불'이 지금 것보다 뒤떨어지지 않는다."
― 마초적 습성을 주인공의 마초적 힘으로 파괴했어야 하나?
"현수의 싸움은 뒤통수를 때리는 것으로 시작하는 사도(邪道)의 싸움이다. 사도로 사도를 극복하는 것, '시적 꽃봉오리'라고 표현하고 싶다."
― 싸움 장면이 박진감이 넘쳤다.
"정식으로 겨루는 합(合)이 아니라 개싸움 같은 걸 연상했다. 이종격투기를 참고해 발걸기가 많고, 테이크(노출 시간)가 길다. 액션을 무리없이 찍은 건 스스로도 대견하다."
― 권상우가 거울 보고 연습하는 장면은 '택시 드라이버'를 연상시킨다.
"오마주다. 현수와 '택시 드라이버'의 트레비스(로버트 데니로)는 둘 다 미쳐간다. 소심한 남자의 광기를 그려내고 싶었다."
― 시의 시대에 시인이었고, 영화의 시대에 감독으로 살고 있다. 메이저 장르를 좋아하는가.
"일부러 그런 것은 아니지만 들어줄 사람이 많은 것은 행복이다. 은유하고 절제하는 시인의 자아와 직설적이어야 하는 감독의 자아가 부딪히는 것을 느낀다. 결말을 놓고도 더 친절했어야 한다는 말이 있었다. 그래서일까. 이제 다시 시를 쓸 생각이다."
/박은주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