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자금 수사 정국을 맞은 요즘의 모든 언론매체에는 '깨끗한 정치'를 향한 열망이 철철 흘러 넘친다. 썩은 정치에 대한 비분강개에서부터 국민이 불쌍하다는 식의 한탄에 이르기까지, 그 열망은 바야흐로 이 나라 정치를 송두리째 바꿔놓을 것처럼 보인다.그러나 그 와중에서 한가지 이해할 수 없는 게 있다. 교과서적 수준의 깨끗한 정치를 해온 민주노동당 관련 기사는 거의 전무하다는 사실이다. 이는 지난 대선 이래로 지금까지 계속돼 온 '법칙'이다.
민주노동당이 원내 의석이 없는 정당이기 때문에 그런 박대는 불가피하다는 것일까? 그렇다면 더러운 정치에 대한 분노와 저주는 무엇이란 말인가? 깨끗한 정치를 실천하고 있는 민주노동당 관련 기사를 많이 싣는 게 그런 분노와 저주의 표출보다는 훨씬 더 생산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데에 동의할 수 없다는 것일까?
물론 우리는 민주노동당 관련 기사가 언론매체에 실리지 않는 이유를 모르지 않는다. 기존 출입처 제도 탓이 크다. 모든 언론매체들이 민주노동당을 상시적으로 출입하는 기자를 두고 있지 않다는 말이다. 뉴스란 기자가 있는 곳에서 나오기 마련인데, 기자가 없는 민주노동당에서 무슨 뉴스가 나올 수 있겠는가.
더러운 정치판을 향해 침을 뱉기에만 바쁜 언론에게 묻고 싶다. 언론은 더러운 정치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가? 그간 언론의 정치보도가 추구한 제1의 가치는 '깨끗한 정치'가 아니었다. 정쟁(政爭) 위주로 싸움판의 이모저모를 알려주기에 바쁜 이른바 '권투 저널리즘'이었다. 지금 대선 자금 관련보도마저도 그런 '권투 저널리즘'의 틀에 갇혀 있다.
언론의 정치보도는 '자기 이행적 예언'의 효과를 갖는다. 언론이 싸움의 재미에 집착하는 보도를 하는 한 정치는 이전투구(泥田鬪狗)로 흐를 수밖에 없다. 만약 언론이 앞 다투어 깨끗한 정치인과 정치세력을 부각시키는 보도를 한다고 가정해보자. 정치인과 정치세력의 '언론플레이'는 그 방향으로 바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언론의 정치보도가 의도적으로 '포지티브 저널리즘'을 추구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려는 게 아니다. 최소한의 균형이 필요하며, 민주노동당 관련 기사가 그것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언론이 외면해서 그렇지, 민주노동당의 언행 가운데엔 한국 정치를 깨끗하게 만들 수 있는 좋은 대안들이 많이 있다. 진정 민생을 염려하는 구체적인 대안도 풍부하다. 진보와 보수의 차이를 떠나 모든 정치세력이 꼭 배워야만 할 것들이다. 언론이 민주노동당의 그런 점을 자주 보도해주면, 다른 정당들에게도 아주 좋은 자극이 될 것이다.
언론이 민주노동당을 외면하는 것은 꼭 기자 인력 문제 때문만은 아니다. 정치보도란 원래 보수 정치세력만을 다루는 것이라고 믿는 고정관념이 더 큰 이유다. 그런 고정관념을 깨지 않는 한 한국 정치의 근본적인 변화도 기대하기 어렵다.
국민의 대표성으로 보더라도 민주노동당이 지금처럼 언론으로부터 '찬밥' 대접을 받는 것은 매우 부당한 일이다. 민주노동당이 그 몫에 상응하는 대접을 언론으로부터 받지 못하면 노사갈등의 합리적 해결도 영영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민주노동당을 다시 보는, 언론의 변화를 기대한다.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