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진보적인 단체인 경제정책연구센터의 딘 베이커 공동소장은 1996년부터 유력지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의 경제보도에 대한 주간 모니터 보고서 '경제보도비평'(EPR)을 발행하고 있다. EPR이 다루는 비평의 범위는 경제 일반과 국제무역, 특허권, 사회복지 등을 망라한다.우리의 경우는 어떤가. 최근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미디어 비평이 활성화했지만 전문 지식이 요구되는 경제뉴스의 특성상 경제보도는 언론단체의 모니터 대상에서 제외돼 왔다. 그러나 최근 경제보도에 대한 적극적 감시의 필요성이 활발히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언론개혁시민연대와 언론노조는 8일 개최한 '뒤틀린 경제보도 실상과 언론감시' 토론회에서 최근의 경제보도가 재계의 입장을 지나치게 대변하고 경제정책을 왜곡하는 데까지 이르렀다고 입을 모았다.
발제를 맡은 조준상 언론노조 정책국장은 "매일경제와 한국경제, 조선일보는 외국인 최고경영진을 인터뷰하거나 국제회의를 보도하면서 '국내 노동시장 유연성이 낮다'는 점을 주요한 의제로 보도해 왔다"며 "그러나 정작 '삼팔선'이니 '사오정'이니 하는 신조어를 사용하며 이미 국내시장이 충분히 유연해졌음을 고백하는 모순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국장은 또 "노무현 대통령의 토지공개념 실시 발언에 대해 조선일보 중앙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 등은 '사회주의적 발상' '반시장적' '사유재산권 침해' 등으로 폄하했다"며 "그러나 애초에 토지는 상품이 아니었고, 그 토지 위에 들어서는 건물도 매우 제한적 상품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전혀 사회주의적이지도 반시장적이지도 않다는 본질적 접근의 노력은 전무했다"고 비판했다. 조 국장은 이 밖에도 경제위기를 노조에 전가하는 경향 재벌 총수에 관대한 보도 등을 최근 경제보도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꼽았다.
하준(서울대 경제학 박사과정)씨는 '신문기사에 반영된 시장의 폭력'이란 발제문에서 "경제기사는 정치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정성이 약하고 일상적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일반 독자들에게 쉽게 수용되는 문제점이 있다"며 "언론·시민·노동단체가 상시적 모니터를 위해 분업과 연대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화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