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벌어지고 있는 수능시험에 대한 논란은 수능관리체제의 일대 혁신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일깨워 준다. 그 논란을 차례대로 살펴 보면 두 월북문인의 글에 대한 언어영역 출제누설의혹, 출제위원에 학원강사가 들어갔다는 것, 대학교수가 출제위원장을 역임한 경력까지 밝히며 수능비법 참고서를 냈다는 것, 외국어의 일부 문제가 시중 문제집과 거의 유사하다는 것 등이다.수능에 대한 시비는 연례행사였고 정답시비도 끊이지 않았지만, 그동안에는 주로 난이도 조절이 문제의 초점이었다. 그러더니 올해에는 관리체제 자체가 불신 당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 어떻게 출제위원들을 선정해 어떻게 출제했기에 이 모양이냐는 것이다. 특히 자격시비가 있는 학원강사가 문제를 내고 그의 전공분야의 글이 예상문제로 나돌았다면 수능의 공정성과 권위는 추락했다고 봐야 한다.
이미 2년 전에 교육과정평가원장은 국회에서 수능 출제방식 개선과 전문성 제고를 위해 일본 대학입시센터에 준하는 상설기구를 통한 출제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었다. 그러나 출제위원과 검토위원들을 장기간 연금하는 통조림출제방식은 여전하다. 사람을 확보하기는 갈수록 어렵고 따라서 자격 검증이 소홀해진다. 더 큰 문제는 장기 부재로 인해 출제위원들의 신분이 노출되는 데 따르는 부작용이다. 작년엔 출제장소가 알려지는 일까지 벌어졌다. 다행히 탈없이 넘어갔지만, 출제위원과 출제장소가 알려지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학생들의 일생이 걸린 시험을 하루 만에 끝내지 말고 이틀에 걸쳐 실시하거나 문제은행을 만들어 운영하는 대책이 오래 전부터 논의돼 왔다. 그러나 교육당국은 마이동풍이다. 수능에 대한 저항이 더 커지기 전에 구체적 개선대책과 확실한 추진일정을 제시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