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8일 내년 2월 특공여단과 야전 공병단이 주축이 된 5,000∼6,000명 규모의 병력을 추가로 파병하겠다고 발표, 이라크 파병 문제가 다시 한번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정부는 파병 외에 이라크 재건을 위해 향후 4년에 걸쳐 2억 달러를 지원할 계획도 밝혔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은 파병저지 운동을 본격화하고 있는 반면 보수 단체는 적극 지지를 표명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각 당, 각 개인마다 찬반 의견이 엇갈려 국회 파병동의안 처리 등을 놓고 또다시 큰 진통이 예상된다.그러나 여론조사 결과는 1차 파병 때와 정반대다. 한국일보 사이트(www.hankooki.com)가 20일 "이라크 추가 파병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주제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22일 오후 8시 현재 3,827명이 참가해 '찬성한다' 64.9%(2,482명) '반대한다' 34.1%(1,306명) '모르겠다' 1.0%(39명)로 찬성 여론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3월 13일 한국일보 사이트가 1차 파병을 앞두고 실시했던 여론 조사 결과는 '파병, 경제지원 모두 반대한다'가 45.5%로 가장 높았고 '파병만 반대한다'가 17.8%, '찬성한다'는 36.7%에 그쳤다. 미국이 벌인 명분 없는 전쟁에 끌려 다닐 수 없다는 의견이 대세였고 결국 1차 파병은 비전투병으로만 이루어졌다.
이에 비해 2차 파병에는 전투병이 포함된다고 하는데도 찬성 여론이 높게 나타난 것은 다소 의외다. 일단 이라크에서 종전이 선언되어 인명 살상의 가능성이 줄어든 데다 노무현 대통령의 결정에 앞서 이루어진 유엔 결의안 등이 파병의 명분을 높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보수 언론들이 전투병 파병을 기정사실화하고 파병이 국익에 도움이 되는 것처럼 보도함에 따라 여론의 대세를 뒤집었다는 견해도 있다.
실제 네티즌의 논쟁 양상은 1차 파병 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 미국에 대한 견해와 국익에 대한 입장 차이가 대척점을 이루었다. 유엔 결의안에 대한 지지나 인명 피해에 대한 낙관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파병을 찬성하는 의견에는 "힘 없는 나라에서는 어쩔 수 없는 것 아닌가요. 국익을 위해서"(djlee50)라는 현실론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 파병에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대한민국은 언제까지 미국에 굽신거리며 맹목적인 외교정책을 펴 나가야 합니까. 파병 찬성론자들이 말하는 국익이 얼마나 크며, 크다 한들, 이라크에 보내질 우리의 아들들보다 클 것입니까."(cruisek) "이라크 재건 논의에서 우리나라는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습니다. 거의 다 미국 기업이 챙기고 있습니다. 또 대량살상무기가 있다고 우기는 나라를 따라 가는 것이 우리 나라의 입지를 세우는 것인가요?" (dullpig) 등의 글들이 올라왔다.
/김지영기자 koshaq@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