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희 선생님.얼마 전 동네 근처의 서점에 들렀더니 선생님의 작품 '혼불'이 스테디셀러 코너에 진열돼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선생님이 세상을 떠난 지 5년이 지났지만 선생님의 작품이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즐거웠습니다. 선생님의 작품을 사랑하는 팬이자 학교(전주 기전여고) 제자로서 당연한 마음이겠지요.
1998년 세모에 신문 방송매체를 통해 선생님이 타계했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선생님을 직접 지켜본 저로서는 느낌이 남달랐지요.
초 여름의 화창했던 어느 날, 선생님께서는 조금은 어색한 웃음을 지으며 교실로 들어오셨지요. 평소와는 다른 연두빛 고운 원피스를 입으셨지요. 푸르른 녹음이 우거진 바깥 풍경과 얼마나 잘 어울리던지요. "우…." 저희들의 함성 때문에 선생님께서는 수업을 하지 못했습니다. 선생님은 떼를 쓰는 저희들을 데리고 보라빛 등꽃이 한창인 운동장에서 야외 수업을 했지요. 파란 하늘과 보라색 등꽃과 연두빛 원피스의 출렁거림…. 수업 내용이야 아무래도 좋았던 날이었습니다.
선생님은 노트검사를 유난히 꼼꼼하게 했지요. 겉표지를 예쁜 그림으로 싸고 초록 잉크 펜글씨로 정성을 다했던 제 노트에는 언제나 A 플러스가 새겨졌지요.
선생님은 당신의 모교이기도 했던 우리 여고에서 교직생활을 했지요. 알고보니 선생님은 이 시기에 '혼불'의 첫 장을 썼다고 합니다. 오늘 '혼불'을 두번째로 완독했습니다. 잠시 선생님에 대한 감회에 젖어 보았습니다. 첫 번째 읽을 때는 주인공들의 갈등을 쫓아 읽느라 소홀했던 부분들을 이번엔 자세히 읽을 수 있었지요.
일제 시대인 1930년대 이후 해방까지 전북 남원의 매안 이씨 가문에서 무너지는 종가를 일으키려는 종부(宗婦) 3대의 삶을 그린 작품이지요. 일제의 수탈과 근대사의 격동 속에서 양반사회의 기품을 지키려는 주인공들의 노력으로 배어 있지요. 요즘 감각으로는 따라 읽기도 힘들 만큼 꼼꼼한 문체로, 보석처럼 숨겨진 우리말을 찾아내 전래의 세시풍속 관혼상제 음식 노래와 관제 등을 기록한 소설은 생생한 한국학 민속학 자료입니다.
관혼상제는 물론 역사, 종교를 고증하는 데 심혈을 기울인 글들을 꼼꼼하게 읽으면서 새삼 선생님에 대한 그리움이 밀려 왔습니다. 아마도 지금 선생님께서는 다시 오실 수 없는 그 곳에서도 무언가를 집필하고 계시지는 않는지요.
/이영아·서울 송파구 오금동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