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 재처리 완료 및 플루토늄 용도 변경 주장에도 불구, 2차 6자회담은 '11월 개최 대세론'을 이어갈 전망이다.북한의 외무성 성명이 발표된 이후 미 정부 관리들은 한결같이 북한의 재처리 완료 주장이 과거 주장의 재탕임을 지적하고 있다. 콜린 파월 국무장관은 2일 "3번째 반복되는 그들의 성명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고 말했고, 제임스 켈리 국무부 차관보는 "지난해 10월과 올 4월, 7월에 걸쳐 계속해 왔던 얘기"라고 일축했다. 북한의 주장이 새로운 위협이 아니며 따라서 6자회담을 통해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려는 원칙을 바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미국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반응들이다.
이 같은 반응의 근저에는 북한이 결국 6자회담의 무대로 다시 걸어 나올 것이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 워싱턴의 외교 소식통은 "대외적으로 발표되는 북한 관리들의 발언이나 성명의 속 뜻은 판을 깨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성의를 촉구하는 데 있다"며 "역설적으로 북한의 수사가 강경할수록 회담 속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는 셈"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의 이번 플루토늄 용도 변경 주장에도 6자회담이 개최되기 전 안전보장 조치에 대한 미국의 양보를 얻어내거나 향후 북미간 협상에서 유리한 지렛대를 확보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게 미 정부의 분석이다.
워싱턴 포스트는 3일 "북한의 성명은 미국과 6자회담에 참여하는 다른 나라의 대북 접근법에 대한 분열을 유도, 미국의 강경 기조를 완화하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때문에 미국은 북한의 주장을 일축하면서도 북한이 6자회담으로 나올 수 있는 명분을 터주는 방안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파월 장관은 이날 "미국은 그 지역 동료 국가들과 협력해 6자회담 과정을 진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대북 안전보장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해 회담의 긍정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모종의 조치를 취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미국이 일정한 수준에서 북한의 안전보장 요구를 수용할 경우 6자회담 개최의 물꼬는 의외로 쉽게 터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10월10일 노동당 창건일 등 북한 내부의 행사 일정과 한·미·일, 중국, 러시아의 외교 일정을 감안할 때 11월 초 회담 개최 가능성을 유력하게 꼽고 있다.
/워싱턴=김승일특파원 ksi8101@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