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급속한 자동차 산업 발전의 후유증을 톡톡히 겪고 있다.세계 3대 자동차 생산국으로 부상했지만 대도시의 도로가 늘어나는 교통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날로 심해지는 교통체증에 자동차 산업의 경제공헌도가 물류비용 증가에 뒤지게 될 것이란 우려까지 나온다. 베이징(北京)에서는 최근 시 당국이 곧 발표할 도심 교통난 완화책을 놓고 찬반 논란이 한창이다. 이 논란은 25일 관영 신화통신이 머릿기사로 다룰 만큼 관심거리가 됐다.
당국의 대책은 크게 자가용 승용차 증가 억제와 대중교통수단 확대로 나눠진다. 운전면허증 발급비 인상, 승용차 도심 진입비 부과, 외곽 지역 대형 주차장 건설 등이다. 각종 대형 쇼핑, 오락시설 개장 시간을 출근시간대와 달리 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올 8월 현재 베이징의 각종 자동차는 200만대. 인구 1,380만 명에 비추면 결코 많은 편은 아니다. 창안(長安)대로로 대표되는 확트인 도로에다 아직 마이카 시대에 진입하지 못한 상황을 고려하면 교통체증은 엄살 같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속 사정은 그렇지 않다.
시 당국의 대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교통체제와 도로건설 시스템 개혁 없이는 어떤 대책도 공염불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베이징의 자동차 붐이 막 시작된 상황에서 단순한 승용차 증가 억제는 대책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베이징은 간선도로와 지선의 연결지점에서 병목현상이 생긴다. 전시효과를 노린 때문인지 간선도로만 시원하게 뚫고 연결도로는 신경을 쓰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애초부터 도로의 계획, 건설, 관리 부문 간에 협력이 이뤄지지 않은 탓이 크다.
반대론자들은 따라서 교통 관련 부문간의 협력과 지하철·경전철 등의 확대에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국사회과학원의 교통 전문가는 "체증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중국의 자동차 산업 발전도 장애에 부딪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베이징=송대수특파원 dss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