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바이에서 몰아친 환율태풍에 우리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서방선진 7개국(G7) 재무장관회의에서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국에 대해 '보다 유연한 환율정책'을 요구한 것이 통화절상 압력으로 받아들여지면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이 1,151원대로 떨어지고 종합주가지수도 11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을 보이며 710선대로 주저앉았다.우리만 그런 게 아니라 일본, 대만, 홍콩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다. 다행히 하루 지난 23일에는 금융시장이 환율충격에서 벗어나 안정을 되찾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환율문제는 가장 긴박한 경제 현안으로 부상했다. 이번 환율태풍의 근본 원인은 미국의 불황에서 비롯됐다. 미국이 저평가된 환율을 이용한 불공정 무역이 불황 원인이라며 중국과 일본을 겨냥해 통화절상 압력을 가한 것이다. 일본 엔화와 같은 추세로 움직이는 원화가 직접 영향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그렇지 않아도 장기 경기침체에 실업문제, 노사문제, 산업공동화 등으로 위기에 처한 우리 경제가 환율태풍으로 복원력을 잃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수입 의존도가 높은 일부 기업을 제외하곤 수출기업을 비롯한 대부분의 제조업체들이 직격탄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현재의 전망대로 환율이 연말까지 1,110원대로 떨어지면 수출을 포기할 수밖에 없어 주력 수출시장을 고스란히 중국에 내어주어야 할 판이다.
더욱 답답한 것은 환율급락을 저지할 뾰족한 대안이 없다는 점이다. 얼마 남지 않은 외국환 평형채권을 투입해도 약발을 나타낼지 의문이며 금리조절을 통한 환율조정도 어려운 형편이다. 유일한 대책은 환율파고를 극복하는 것이다. 바로 환율에 대한 내성(耐性)을 강화하는 것이다. 정부나 기업 모두 이번 기회에 환율이 아닌 제품 자체의 경쟁력으로 승부하겠다는 전략을 세울 것을 당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