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신당'의 출범으로 정국 구도는 한나라·민주·자민련의 3당 체제에서 4당 체제로 바뀌었다. 이는 가깝게는 정기국회 운영, 멀게는 내년 총선 이후까지 적잖은 파장을 미칠 게 확실하다. 또 사실상 여당이 없어짐으로써 각 정파간 합종연횡 소지가 커지고, 당정관계가 바뀌게 되는 등 정치권은 새로운 실험을 하게 됐다. 여당의 분열은 정국 구심점 상실, 책임 정치 실종 등의 논란을 낳을 수도 있다.노무현 대통령으로선 확실한 자기 편의 세력화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이다. 그러나 총선 등에서의 '대통령당'에 대한 평가는 곧 대통령 자신의 부담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신당 출범은 그에게 '액(厄)'이 될 수도 있다.
신당은 지금까지 등장했던 유력 정당 가운데 가장 진보적인 색채를 띠고 있다. 참여 인사들의 면면, 이들의 평소 의정활동 성향이 이를 말해 준다. 상대적으로 한나라당 민주당 자민련은 보수적이다. 따라서 정기국회, 더 나아가 내년 총선에서의 보·혁 대결 구도가 한층 분명해질 것으로 보인다.
내년 총선에서의 지역대결 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이다. 먼저 "한나라―영남, 민주당―호남, 자민련―충청의 지역 기반이 더욱 공고해 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있다. "호남 출신 표가 민주당 분당 책임을 노 대통령과 지지세력에게 물을 경우 호남표의 민주당 쏠림 현상이 강해져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표의 결집까지 유도하지 않겠느냐"는 이유에서이다. 이렇게 되면 수도권과 영남을 주공격목표로 삼고 있는 신당은 지역기반 면에서 '미아'가 될 수도 있다.
역으로 여권 지지층이 공멸의 위기감을 느껴 민주당과 신당 중 어느 한 곳으로 집중하는, '표에 의한 단일화' 가능성도 점쳐볼 수 있다. 민주당과 신당 중 어느 하나만 살아 남는 경우다.
신당의 출범이 각 정파 내 개혁파에게 연쇄 반응을 일으켜 정계재편의 기폭제로 작용할 것인지도 관심사다. 당장 한나라당내 소장 개혁파 의원들의 동향이 주목된다.
여야의 구분과 경계가 모호해짐으로써 4당 간의 다양한 연대·조합이 가능해 졌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내각제 개헌과 관련한 블록화 가능성이다. 민주당 잔류파 안에선 이미 "노 대통령을 견제하고 골탕 먹일 수 있는 궁극적인 수단은 내각제 개헌"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김종필 자민련 총재가 민주당 중도파 중진에게 내각제 공조 여부를 타진했다는 소문도 있다. 따라서 총선전 또는 그 후에 한나라·민주·자민련 간에 '내각제 연합'이 이뤄질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현재 의석 만으로도 세 당이 힘을 합치면 대통령 탄핵과 개헌이 모두 가능하다.
/신효섭기자 hssh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