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15일의 17대 총선은 현정부 들어 치러지는 첫 전국 단위 선거다. 노무현 정부가 관리하는 처음이자 마지막 국회의원 선거이기도 하다. 그만큼 정치적 의미나 정국에 미칠 파장이 크다. 선거 결과에 따라 참여정부의 국정운영 구도가 정해지게 된다. 노 대통령의 1년 치적에 대한 국민 평가로 해석될 여지도 충분하다.이번 총선의 특징중 첫째는 '4당 체제'로 치러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2000년 16대 총선은 한나라·민주·자민련 주요 3당의 경쟁구도였다. 그러나 이번에는 민주당이 둘로 갈라짐으로써 한나라·민주·신당·자민련의 4당 대립 구도가 유력해졌다. 민주당과 신당을 여권의 테두리에 묶을 수 있다고 보면 '다여다야(多與多野)'의 보기드문 상황이 벌어지는 셈이다. 민주당과 신당이 연합공천 등을 통해 '둘이면서 하나인 체제'로 선거를 치를 소지도 남아 있다.
'탈(脫)3김',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의 퇴장 이후 치러지는 첫 선거라는 사실도 의미 있다. 16대 총선만 해도 김 전 대통령과 김종필 자민련 총재가 각각 민주당과 자민련 선거를 진두지휘했다. 그러나 현재 DJ는 정계를 물러나 복귀할 여지가 없는 상태이고, JP는 영향력이 현저히 떨어져 2선 후퇴설까지 공공연히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이 선거결과에 어떻게 반영될지, 특히 호남표의 향배가 관심사다. 17대 총선에선 진보 대 보수의 이념 대결, 세대간 대결 양상이 심화할 가능성도 엿보인다. 진보 성향 및 50대 대통령의 참여정부 출범을 계기로 한나라당의 보수 및 원로 색채는 상대적으로 이전보다 더 강해졌다. 여권의 분열도 '진보(신당) 대 중도보수(민주당)'의 이념 분화로 볼 수 있다. 여기에 민주노동당 등 진보 정당의 원내 진출 노력이 어느 때보다도 치열하고, 성공할 가능성도 이전보다는 크다는 분석이다.
3선 지방자치단체장의 국회 진출 노력, 정국 혼미에 따른 무소속 출마 러시 등에 따라 17대 총선의 경쟁률은 다른 어느 때보다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각 언론기관의 출마 예상자 보도를 종합해보면 경쟁률이 8대1에 육박, 16대 총선 당시 4.6대1의 배에 가깝다. /신효섭기자 hssh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