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부터 17일까지 10일 동안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는 제5차 세계공원대회(World Parks Congress)는 환경 단체와 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행사다. 이 행사는 국제적 규모의 NGO(비정부기구)인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10년에 한번씩 개최한다. 참가자들은 이번 행사에서 국립공원의 효과적인 보존 방안을 논의하게 되는 데, IUCN은 이번 대회의 키워드를 '경계를 넘어 상생으로(Benefits beyond boundaries)'로 정함으로써 국립공원을 보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IUCN이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 최근 국내에서도 적용되는 사례가 나타나 반갑게 생각한다. 알다시피 국립공원을 보존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가장 어려운 일은 상충하는 이해관계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이다. 국립공원 관리에는 정부 부처간, 지역간, 계층간에 이해관계가 실타래처럼 얽혀있다. 이해 당사자가 한발씩 양보하지 않으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최근 환경부와 산림청은 '공원내 숲 관리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 국립공원내의 일부 인공 조림지에 한해 산림 개발을 허용한다는 내용이다. 현재 인공 조림지에는 낙엽송 등 나무가 필요 이상으로 조밀하게 서식하고 있어 생태적으로 건전하지 않다. 그래서 이 지역의 개발을 어느 정도 허용하는 것이 자연 보존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환경부와 산림청이 상대의 입장을 수용함으로써 도출해낸 좋은 결과이다.
그런데 이번 협약에 대해 일부에서 반대의견을 제기하기도 했다. 국립공원에서 산림개발이 허용됨으로써 국립공원의 자연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협약의 본질과 다른 것이고 사안의 본질을 잘못 파악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무가 지나치게 조밀하게 심어졌다면 어느 정도 베어내는 것이 자연 보존이다.
이제 우리 국립공원도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 성장하고 있고 지역 사회와 상생의 구도를 꾸준히 모색하고 있다. 지역 주민의 적절한 임산물 채취 허용을 통해 지역의 자발적 자원보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지역의 이해를 구하려는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환경부 독자적으로 공원을 관리하기가 어렵다면 산림청 등 여타 부처와의 협조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 이 같은 조화로운 네트워크 형성은 궁극적으로 우리 모두가 바라는 국립공원의 미래상을 가능하게 한다. 상생의 정책을 통해 우리나라 국립공원이 글로벌 스탠다드로 성장하기 바란다.
김 성 일 서울대 산림자원학과 교수·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