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한국의 선지식]<24> 우리시대의 보현 광덕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한국의 선지식]<24> 우리시대의 보현 광덕

입력
2003.08.26 00:00
0 0

"꿈속에 있을 때는 꿈꾸는 존재가 너라고 하자. 생각이 있을 때는 생각하는 존재가 너라고 하자. 꿈도 없고 생각도 없을 때, 너는 뭐냐? 가져와 봐라!" 광덕에게 동산은 거두절미하고 이렇게 들이댔다. 병마에 시달리던 육신을 달래기 위해 소개장을 들고 범어사로 온 광덕에게 동산의 화두는 날벼락이나 다름없었을 것 같다. 허나 명안종사 동산은 달랐다. 동산은 스물 넷의 청년에게서 무엇을 보았을까. 수행자로서의 근기(根機)와, 더 나아가 불조의 혜명(慧命)을 밝힐 전등의 빛이 내면에 감춰져 있음을 간파하지 않았을까.줄탁동시( 啄同時)의 법연이 첫 만남에서 맺어진 것이다. 어미 닭이 품은 알이 부화할 때가 되면 알 속의 새끼는 먼저 안쪽에서 껍질을 톡톡 조는데 이를 줄이라고 한다. 어미 닭이 바깥에서 같은 자리의 껍질을 쪼는 행위가 탁이다. 줄탁의 행위가 동시에, 같은 곳을 향해 이뤄져야 병아리는 비로소 세상 밖으로 나온다. 동산이 던진 화두는 마침내 스승과 제자의 인연에 이어 광덕을 깨달음의 바다로 인도하는 반야선이 된다.

동산의 화두는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의 의미를 암시한다. 꿈과 생각은 의식의 소산이다. 수행자에게 의식은 반야의 씨앗을 죽이는 차별과 분별에 다름 아니다. 동산은 미래의 제자에게 번뇌망상의 근원인 의식을 여읜 자리에서 본래면목을 찾아보라고 주문한 것이다.

"일주일간 매일 아침 문안을 드릴 때 마다 '일러라, 일러!', 이렇게 다그치셨습니다. 그 때만해도 그 뜻을 몰랐죠. 온갖 이론을 다 꾸며내 답을 찾으려고 했지요. 그러니 매일 방에서 쫓겨날 수 밖에. "

사물의 실상은 본디 집착해야 할 아무 것도 없는 절대무다, 분별이 떨어져나간 경계가 본래무일물이다. 상대적 관념의 찌꺼기는 들러붙을 데가 없다. 인간의 삶 역시 이처럼 본래무일물의 세계다. 빈 손으로 와서 빈 손으로 가는 게 삶이 아니던가. 광덕은 몇 년 뒤 금정사에서 반야의 눈을 뜬다. 그는 당시의 심정을 오도송 대신 '한마음헌장'에 재현한다. '부처, 한마음, 생명, 마하반야바라밀(대지혜의 완성)'은 광덕불교를 떠받치는 4대지주로 한마음헌장에서 파동치고 있다.

동산과의 만남은 금하광덕(金河光德·1927∼1999)의 삶을 결정짓는 전환점이 된다. 불교계에서 아주 독특한 위상을 차지하는 선사 소천(韶天)도 광덕의 구도여정에 스승이 되어주었다. 만주에서 독립투쟁을 벌이던 시기에 금강경을 보고 일찍이 한 소식을 얻은 소천은 52년 쉰 여섯의 나이에 동산을 은사로 머리를 깎는다. 광덕의 반야바라밀사상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용성선사로부터 혈맥을 이어받고, 동산선사로부터 몸을 지어받고, 소천선사로부터 안정(眼精)을 밝혀 받았다." 법사 김재영은 일대기에서 광덕이 한국불교의 정맥을 이어받았음을 설명하고 있다. 사형인 당대의 본분종사 성철도 종단의 대소사를 물어오면 "광덕 사제하고 상의하라"고 할 정도로 그의 인품은 종단 안팎에서 오롯이 빛을 발했다.

가정 형편이 어려웠던 광덕은 스무 살의 나이에 야간대학인 한국대학에 입학한다. 주로 서울대 교수들이 강사로 가르쳤는데 광덕은 철학자 박종홍의 지도로 학문의 기초를 다진다. 한국대학은 국제대학을 거쳐 현재 서경대학으로 바뀌었다.

수행은 끊임없는 자기탈피의 과정이다. 구도의 길에서 광덕은 위의 일부와 한쪽 폐를 잘라내는 암초를 만난다. 그러나 육신의 고통을 수행의 과정으로 삼았다. "괜찮아. 내가 이제 육신 껍데기를 벗을 때가 된 줄로 알고, 이제 이 육신에 연연하지 않기로 했어." 도반의 근심을 오히려 씻어주려고 노력했다.

"바라밀의 눈에는 조국을 떠난 개인이 없고, 세계를 떠난 조국이 없으며, 개인을 떠난 세계나 조국도 없다. 우리는 보현을 배워 세계를 뒤덮은 미망의 구름을 세척하여 조국과 나와 세계에 평화 번영과 지혜가 충만하기를 기원해야 한다." 광덕불교의 두 법륜은 반야바라밀사상과 보현보살의 행원이다. 광덕은 개인·사회·인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통로로 보현의 행원을 내세운다. 반야바라밀은 이를 뒷받침하는 사상적 기반인 셈이다. 보현행원은 일체를 이루는 불가사의의 방망이다. 적어도 광덕에게는 그러했다. 가정의 평화, 사회의 번영, 국토의 안녕, 그리고 필경 피안으로 건네주는 반야의 뗏목인 것이다.

보살은 두 모습이다. 인간으로서 깨달음을 향해가는 수행자의 모습, 부처가 인간을 향해 대자비의 손길을 내미는 모습이다. 보현은 불과(佛果)를 증득한 보살로 중생구제를 위해 인간의 모습을 하고 세상에 나타났다. 보현의 사명은 모든 중생의 교화다. 광덕은 보현행원의 실천이 부처의 가르침을 이행하는 일이며 피안의 세계로 나아가는 길임을 강조한다. 광덕이 92년 국악교성곡 '보현행원송'을 발표한 까닭이다.

"수행자는 부처님이 키우시는 나무의 꽃이다. 중생은 저마다 부처님의 생명을 이어받은 꽃이다. 중생의 갖가지 특징은 부처님 마음바다에 핀 아름다운 꽃이다. 중생은 중생이 아니오, 기실 여래의 청정자성을 분별하는 존재이다." 그래서 광덕은 '내 생명 부처님생명'이라고 외친다. 새로운 인간선언이다. 부처나무에 무성하게 자라는 뿌리와 가지, 꽃과 열매―이 것이 생명의 진실상이다. 그러니 우리의 생명은 부처의 생명인 것이다.

그렇다고 중생이 부처의 피조물이나 종속자는 아니다. 반야의 눈으로 보면 생명의 세계는 절대평등하다. 중생은 모두 불성을 갖고 있다(一切衆生悉有佛性·일체중생실유불성). 마음과 부처와 중생, 이 셋이 차별이 없다(心佛及衆生 是三無差別·심불급중생 시삼무차별). 석가는 열반경과 화엄경에서 설했다. 석가는 평등대비의 마음으로 모든 중생을 고루 소중히 여겼다. 평등은 깨달음과 진여의 다른 얼굴인 것이다.

무엇보다 '내 생명 부처님 생명'의 선언은 반야활구다. 광덕은 이 반야활구를 앞세워 수많은 사람을 구했다. 광덕은 보현행원의 실천도량으로 잠실에 불광사를 창건했다. 광덕불교의 회향은 전법이다. 부처의 법을 널리 펴는 것이다. 그 자신이 새 생명을 불어넣은 반야바라밀사상이나 보현행원의 원력은 모두 전법의 방편일지도 모른다.

"범어사로 가지." 보현의 삶을 살았던 광덕은 입적 전날 제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범어사는 마음의 고향이 아니던가. 99년 2월27일 낮 1시40분, "육신의 소멸, 죽음이 아니다"는 임종게를 남기고 열반에 들었다.

이기창 편집위원 lkc@hk.co.kr

늙은 소나무는 반야를 얘기하고(古松談般若·고송담반야) 그윽이 깃든 새는 진여를 희롱하네(幽鳥弄眞如·유조농진여)

선가에서 반야를 얘기할 때마다 빼놓을 수 없는 화두의 하나다. 깨달음의 경지에서 보면 우주의 삼라만상 어느 한 가지라도 부처 아닌 것이 없다. 계곡의 물 소리는 자비로운 부처의 설법이요, 산 빛깔은 청정한 부처의 모습이 아니던가. 광덕은 삼라만상의 모든 것을 부처의 모습으로 받아들인 반야선사(般若禪師)였다. 그리고 반야바라밀의 자장을 무한대로 확장시켰다.

"인간이 곧 바라밀이다. 인간은 바라밀이 빚어내는 온갖 공덕과 권능을 자기의 것으로 쓰고 있다. 각자가 바라밀의 주인이 되어 바라밀의 지배를 받는 것이 아니라 쓰고 있는 것이다. 악인이 되려면 악인이 되고, 성인이 되려면 성인이 되고, 지옥에 가려면 지옥에 가고, 천상에 가려면 천상에 가고, 지옥도 천상도 다 버리고 자재한 세계로 가려면 자재한 세계로 가고, 무엇이고 마음대로 할 수 있다."

광덕의 반야바라밀사상의 요체다. 반야심경은 한국의 모든 불자들이 아침 저녁으로 외우는 경전이다. 그러면서도 정작 그 참뜻은 잊고 지낸다. 광덕은 반야심경의 바라밀사상을 순수불교 회복의 횃불로 들고 나왔다. 반야는 지혜다. 생각과 논리로 획득한 지식이 아니다. 일체중생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는 근본성품의 밝은 빛이다. 바라밀(波羅蜜)은 도피안(到彼岸)을 일컫는다. 피안의 세계, 즉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생멸을 떠나 자유와 진실만이 가득찬 곳이다.

광덕의 반야바라밀은 부처의 근본사상이다. "선지식이여, 모두 마음을 깨끗이 하여 마하반야바라밀을 생각하자." 육조 혜능도 그래서 첫 법문의 말머리를 반야바라밀로 열었던 것이다. 광덕은 거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반야바라밀의 공덕과 실천을 일상의 삶 속으로 끌어들였다. 반야바라밀을 통해 온갖 고액을 멸하고 개인과 사회의 소망을 실현하는 원동력으로 삼았다.

● 연보

1927.4.4. 경기 화성군 오산읍에서 출생, 속성은 제주 고(高)씨

1956. 범어사에서 동산을 은사로 비구계 받음, 법명 광덕, 법호 금하

1965. 대학생불교연합회 창립, 초대지도법사

1965. 봉은사 주지

1974.11.1. 포교지 월간 불광 창간

1982.10.24. 잠실에 불광사 준공

1999.2.27. 세수 73, 법랍 43세로 입적, '반야심경강의' '보현행원품강의' '삶의 빛을 찾아' 등 다수의 저서와 법문집 남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