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만 학우들의 대표를 이런 식으로 뽑아서야 되겠습니까."7월 초부터 서울 종로구 동숭동 한국방송통신대 총장실 앞에서 총학생회 선거 제도의 전면 개편을 요구하며 부정기적으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는 이 대학 법대 2학년 전준기(22·사진)씨.
전씨는 과도한 공탁금과 고비용 구조를 방송통신대 총학생회 선거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꼽고 있다.
방송통신대는 학교 특성상 지역별 연합체로 구성돼 있고 각 지역 총학생회와 지역을 묶은 전국 총학생회가 있다. 재학생은 전국적으로 20여만 명에 달하고 학생회 예산도 10억원에 달할 정도.
그러나 총학생회장에 입후보하기 위해서는 후보가 한 명일 경우 2,100만원, 2명이면 후보당 1,000만원, 3명은 각 700만원, 4명은 500만원씩의 공탁금을 내야 한다. 공탁금은 선거비용으로 사용되므로 선거가 끝난 뒤 돌려 받을 수 없다.
전씨는 "다른 대학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공탁금 제도를 운영하는 것도 문제지만 그 금액이 지나치게 많은 것이 더 큰 문제"라고 말하고 있다. 학칙에 공탁금 제도가 있는 것도 문제지만 선거본부 사무실을 교내에 꾸릴 수 없도록 규정한 것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교외에 선거본부를 설치하면 그 비용을 일반 학생이 부담하기에는 정말 부담스럽니다."
사무실 운영비도 만만치 않은데다 선거운동을 위해 전국에 산재한 지역 방송통신대에 파견하는 자원봉사자 일당으로 지출하는 비용도 상당하다는 이야기다.
전씨는 "현 학생회장도 선거비용으로 6,000만원이 들었지만 적은 비용으로 막았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라며 "사실상 돈 많은 기업가 출신만 총학생회장을 독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서울 지역 총학생회장은 30대 중반의 중소건설업체 사장이고 전국 총학생회장도 30대 중반의 소방설비업체 사장이 맡고 있다.
전씨는 투표 방식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말고사 기간 OMR카드를 돌려 일률적으로 투표, 90% 이상의 높은 투표율을 자랑하는데 대해 전씨는 "학교에서는 높은 투표율이 자랑스러울지 모르지만 정작 후보를 제대로 알고 투표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며 "선거운동원을 많이 산 후보가 그만큼 당선될 확률이 높은 구조"라고 지적했다.
전씨는 "학교측이 당장 공탁금 제도부터 폐지해 입후보의 문턱을 대폭 낮춰야 한다"며 "방학 기간에도 줄기차게 1인 시위를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채지은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