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전 정전협정이 체결됐지만 남북한 사이에는 여전히 또 다른 전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백선엽(白善燁·83) 위원장은 정전협정체결 50돌을 맞는 감회가 남다르다. 1920년 평남 강서에서 출생한 백 위원장은 46년 국군경비대에 입대, 한국군 최초로 4성 장군이 됐던 '살아있는 전설'이다. 한국전쟁 중에 1사단장으로 '평양탈환작전', 2군단장으로 '수도고지전투', 1군단장으로 '설악산 부근 전투' 등에서 전공을 세웠고, 육군참모총장으로 휴전을 맞이했다.
한국 전쟁의 최일선에서 맹활약했던 백 위원장은 정전협정 체결 과정에서도 중대한 임무를 맡았다. 휴전회담 첫 예비접촉이 시작된 1951년 7월 백 위원장은 1군단장으로서 3개월 동안 한국측 대표를 맡았으며, 2년 여를 끌던 회담이 53년 7월27일 정전협정으로 마무리 되기 직전에는 이승만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방미, 한미 간 막판 조율을 담당했다. 이 때문인지 그는 요즘 하루에도 수 차례씩 내외신 인터뷰 일정이 잡혀있을 정도로 빡빡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그는 요즘도 외신과의 인터뷰를 통역 없이 영어로 자유자제로 진행할 만큼 노익장을 자랑하고 있다.
백 위원장은 첫 예비접촉 때부터 만만찮은 협상이 예고되었음을 직감했다고 털어놓았다. 51년 7월10일 백 위원장은 조이 중장 등 유엔군 대표와 함께 헬리콥터를 타고 문산에 내려 지프차를 타고 북측으로 향했다. 소련측에서 제공한 지프차에는 백기가 내걸렸고, 회담장소인 개성 래봉장으로 이동하자 북측이 "적군이 항복하러 오는 길"이라고 대대적으로 선전했다고 한다.
백 위원장은 "자존심을 내세운 북측이 유엔군측 의자와 깃대를 일부러 낮춰놓기도 했었다"며 "군사분계선 설정, 포로교환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으며, 분과위원회에서는 회담 분위기가 험악해지기도 했다"고 회고했다. 백 위원장은 "휴전에 반대했던 이승만 대통령을 설득하기 위해 미국측이 보낸 특사를 18일 동안 밤낮으로 설득하기도 했었다"면서 "이 대통령이 전략적으로 휴전을 반대한 덕분에 한·미 상호방위조약, 10억 달러 무상 지원 등의 약속을 받아내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정전협정에서 남한이 사인을 하지 않아서 이후 남북한 협상과정에서 남한이 따돌림을 받지 않았냐"는 질문에 백 위원장은 "사인을 안 한 게 아니라 유엔군측의 일원으로 한국이 포함됐다"고 반박했다.
백 위원장은 정전협정에 대해 "한미상호방위조약 등 유엔군측의 끈끈한 결속이 뒷받침돼 정전협정이라는 불안한 상황 속에서도 경제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실제로 참전국을 전쟁이 끝난 후 일일이 방문해 감사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반미시위에 대해서는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았다. 여중생 사망 사건을 계기로 폭발한 반미 감정에 대해 "미국이 전쟁에 개입하지 않았다면 이미 한반도는 공산화 되었을 것"이라면서 "역사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은 젊은이들의 철부지 행동"이라고 몰아세웠다.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불평등 문제에 대해서도 그는 "동티모르에 파병된 한국군도 비슷한 수준의 협정을 갖고 있다"면서 "한미 양국이 잘 협조하면 일본이나 독일 수준에 곧 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방부 앞에서 시위를 할 수 없도록 법을 개정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서 그는 '한미동맹 강화'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확언했다. "북한은 정전협정 아래서도 40만 건이 넘는 크고 작은 침략행위를 했었지만 제대로 사과한 적은 1,2건에 불과하지 않느냐"면서 "북한은 동족이라도 평화통일을 원치 않는 세력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말은 틀리지 않다"면서 "북한이 핵 무기를 보유하려고 하는 한 미 2사단의 이전 문제나 주한미군 철수 문제는 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미동맹이 깨지면 안보 위협은 물론 국제적 고립, 경제적 어려움까지 뒤따를 것"이라는 것이 그 이유다.
북한에 대한 포용정책 추진에도 몇 가지 전제조건부터 내걸었다.
"무장공비 남파나 아웅산사건, KAL기 폭파사고 등 지난 50년 동안 이어져 온 침략행위에 대해 북한이 정식으로 사과를 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을 일방적으로 돕는 것이 아니라 '주고 받기' 방식으로 대북정책을 전개해야 합니다."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그는 "어떤 종류의 협정이 중요한 게 아니라 북한이 적화통일 의지를 버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정원수기자 nobleliar@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