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 명맥이 끊어진 것으로 알려진 고대 악기 공후가 고악기 연구가에 의해 천년 만에 재현됐다.'고악기연구회' 대표인 조석연(33·여·한양대 박사과정)씨가 가야금 악기장 고수환(53·전북도지정 무형문화재)씨와 함께 지난 수년간 각고의 노력 끝에 공후를 복원, 지난 1일 전북 전주시 전통문화센터에서 '공후, 그 가능성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연주회를 가졌다.
공후는 1960년대 국립국악원에 의해 형태가 일단 복원됐으나, 실용화를 위한 진정한 의미의 악기로서 연주법과 함께 부활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조씨는 "2년 전 한양대 박사과정에 들어가면서 본격적으로 공후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했다"며 "공후는 소리가 맑고 연주법이 예쁜 동서양의 중간적인 악기"라고 설명했다.
조씨가 수년간 각지에서 모은 자료를 바탕으로 고증과 설계를, 악기장 고씨가 제작을 각각 맡았다. 지난 1일 공연된 곡의 작곡과 연주는 전북지역 대학의 국악과 교수와 학생들로 구성된 고악기연구회원들이 맡았다.
조씨는 "그 동안 고악기는 연주가 아닌 형태 복원 수준에 머물렀다"며 "이번에 공후의 실질적인 복원을 통해 고악기의 실용화 가능성을 가늠해볼 수 있었던 게 가장 큰 성과"라고 말했다.
이번에 복원된 공후는 옛 자료 가운데 '백제금(百濟琴)'이라 불리며 일본 왕가에 전해져 내려온 공후의 부서진 잔해와 통일신라 때 제작된 오대산 상원사 범종에 그려진 공후를 타는 비천상을 뼈대로 했다. 연주법은 옛 문헌의 기록과 중국 돈황 벽화 등 다양한 공후 연주모습 등을 토대로 조씨가 고안했다.
오동나무로 된 지주대 겸 울림통, 조율대와 조율기, 받침대에 23줄의 현으로 구성된 이 악기는 현대음악을 소화해내기 위해 전통 5음계 대신 7음계를 택했으며, 음량을 늘리기 위해 명주실 대신 양금줄(철사줄)을 현으로 사용했다.
재현된 공후는 한국적인 곡선미가 뛰어나며 음색과 음질은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져 실용화의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지난 연주회에서 선보인 이화동 전북대 교수 작곡 '신공무도하가' 등 5곡의 공후 연주곡도 큰 관심을 끌었다.
조씨는 "악기는 진열장에 전시할 때가 아니라 다른 악기와 어울려 소리를 낼 때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완벽한 복원과 보급을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대 동양의 현악기인 공후는 서양으로 건너가 지금의 하프가 됐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조선 때 공후를 타면서 '공무도하가'를 불렀다는 기록이 있고 그 명맥이 고려 때까지 이어졌던 것으로 전해진다.
/전주=최수학기자 shchoi@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