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일부 언론과의 극심한 대립에 언론개혁 문제가 실종됐다. 언론개혁을 논하는 열기와 빈도가 예전만 못하다. 이러다가 지난 몇 년간 우리 사회의 지배적 담론을 형성해온 언론개혁이란 주제가 국민 관심에서 멀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지금 모든 언론 쟁점들은 조선·중앙·동아일보에서 나온다. 조중동이 언론 쟁점의 의제설정을 주도하고 있으며, 언론 현안들도 정부와 조중동의 극심한 대립 속에 해석된다. 가령 취재시스템, 신문공동배달제, 신문고시, 여론독과점 등만 보더라도 조중동은 언론 문제의 본질을 제대로 다루기보다는 사사건건 정부의 언론통제 음모로 몰아세우며 정치판 싸움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조중동이 언론쟁점들을 다루는 방식도 한마디로 무차별적이다. 반대하는 목소리는 무엇이든 기사화한다. 스트레이트 기사와 더불어 그 속에 비판적 내용의 인터뷰 및 코멘트를 끼워 넣는다. 다음날에도 외부 전문가 칼럼과 사설, 기자수첩 등 온갖 비난 기사들을 동원한다. 또 조중동 보도에 기초한 국회의원의 재탕 발언을 뉴스가치를 불문하고 다시 기사화하는 등 끊임없이 정치 공세를 가하는 식이다. 뿐만 아니다. 조중동은 언론감시 시민단체들을 정권의 홍위병으로 전락시키면서 언론개혁 요구의 순수성을 끊임없이 훼손시켜왔다. 그 결과 독자들은 이들 언론 쟁점들을 한낱 정치판의 시비 거리정도로만 치부하며 식상해 했다.
조중동의 이런 보도 방식은 언론 쟁점을 일방적으로 부각시키고 아젠다를 주도하기 위하여 이미 정형화한 틀로서 자리잡았다. 자신들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정권에 대한 공격이라면 무엇이든 대서특필하려는 자세가 노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는 '지면의 사유화'라고 할 수밖에 없다. 이런 자세가 과연 언론의 정상적인 비판과 견제 기능인지, 아니면 정치적 박탈감과 적대감을 밑바닥에 깔고 신문을 만드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물어봐야 할 것이다.
문제는 언론개혁 문제가 정치판의 싸움에 빠져들면서 언론감시 시민단체의 역할이 줄어들고 언론개혁의 목소리까지 실종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정권 말기에도 언론사 세무조사와 신문고시 쟁점들이 여야간의 정치판 싸움에 빠져들면서 문제의 본질이 국민들에게 제대로 확산되지 못했고 그 결과 언론개혁운동의 추진력이 떨어졌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지금도 그 상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금 시민단체는 언론개혁운동에 필요한 새로운 쟁점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언론개혁운동을 대중적으로 펼치기 위한 조직적 바탕도 많이 허물어졌다. 단순히 조중동의 보도 모니터와 언론현안에 대한 성명서를 내는 것만으로 부족하다. 언론감시 시민단체들은 하루 빨리 스스로의 역량을 재정비, 언론개혁의 사회적 담론을 이끌 주도권을 되찾아야 한다. 언론개혁 세력을 결집하고 운동의 동력을 복구해야 하는 일이 더없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끊임없이 언론개혁의 쟁점을 공론화시키고 다수의 국민에게서 이해와 공감을 얻어내야 한다.
언론이 권력을 견제하고 비판하는 게 자신의 사명이라면 그 언론을 감시하고 개혁을 요구하는 건 사회와 시민의 몫이다. 얼마 전 언론노조가 언론개혁운동에 본격 나서겠다고 하면서 200여개의 시민단체와 힘을 모으고 있다고 한다. 향후 언론개혁운동의 새로운 출발을 기대해본다.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