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좀 잘 먹었으면 좋겠어요."아이를 데리고 한의원을 찾는 어머니가 가장 많이 하는 말이다. 잘 먹을 만한 반찬을 골라 열심히 차려 놓아도 아이는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끼니마다 밥그릇을 들고 아이를 쫓아다니다 보면 하루가 다 지나간다고 하소연한다.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는 경우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소화기가 약한 아이, 즉 비위(脾胃)의 기능이 약한 아이가 이런 증세가 많다. 체질로 보면 뱃속이 찬 소음인에게 잘 나타난다. 소화 및 흡수가 잘 안되니 힘도 없고, 마르고, 땀도 많이 흘린다. 배가 아프다는 말도 자주 한다. 이런 아이는 우선 기운을 북돋아 주어야 한다. 일반인에게도 잘 알려진 보중익기탕이나 소건중탕, 황기건중탕 등 가운데 선별해 처방하는 경우가 많다.
두 번째는 신경이 예민하거나 스트레스에 약한 경우이다. 원래 체질적으로 열이 많은 소양인에게 잘 나타난다. 이런 아이의 특징은 부산스럽다는 표현을 할 정도로 움직임이 많다. 잘 먹지도 않으면서 많이 움직여 마른데다가 얼굴은 거무스름한 편이다. 엄마와 이야기하는 도중에 진료실을 오가며 시끄럽게 하는 아이의 안색이 검으면 처방의 방향이 거의 정해진다. 게다가 성격이 급하고 예민한 편이라는 대답을 들으면 열이 너무 많아서 밥을 잘 안 먹는 아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날씨가 더워지면 식욕이 더 떨어진다. 잘 먹던 어른도 식욕이 줄 정도니 평소에 잘 안 먹는 아이를 둔 엄마는 더 힘들어진다.
간식은 당연히 줄이고, 소화기가 약한 아이는 아이스크림이나 청량음료, 찬 과일 등을 많이 먹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황앤리경희한의원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