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일본 중국 러시아를 잇는 동북아 지식 집적기지로 나아가야 합니다. 그래서 네트워크 세계의 중심지로 도약해야 합니다."안홍(44·사진) 국회 정책연구위원이 최근 펴낸 '21세기 대변혁과 인류의 미래'(전2권·문예당 발행)는 정보화사회의 변화를 세계 질서의 재편성이라는 거시적 시각에서 조망한 책이다. 이런 유의 책이 적지는 않지만 국내 연구자가 세계 경제·사회 체제의 변화, 노동시장 재편성 등을 '네트워크 혁명'이란 키워드로 다각 분석한 경우는 드물다.
안 위원은 현재 세계가 과거와의 단절이라고 불러도 좋을 정도로 완전히 새로운 체제로 이행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인터넷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네트워크 정보화 혁명'은 지금 초기단계인 '문자 네트워크 혁명'에 들어서 있다. 이 변화는 곧 '영상·언어 네트워크 혁명'으로 발전하면서 상상하기 어려운 사회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내다본다.
여기서 그가 주목하는 것은 네트워크 혁명이 자본주의의 성격을 근본부터 바꾸고 있다는 점이다. "자본주의는 이미 마르크스 등 많은 사람의 예언과 전혀 다른 길로 나아가고 있다. 자본보다 지식이 중요한 생산 요소로 자리잡았으며, '자본―노동'의 대립 구도는 '지식그룹―비지식그룹'의 지배·종속 구도로 바뀌고 있다." 그는 결국 자본주의가 수많은 글로벌 사회 네트워크에 감시·견제 받는 '사회주의화한 자본주의'로 변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 책은 네트워크 사회 변화 일반론만 아니라 한국의 선택이 무엇이 되어야 할지 각론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눈여겨볼 만하다. 그는 한국의 선택이 "관료 허브 구조의 개혁"이라고 강조했다. 또 "정쟁에 빠진 정치 지도자들이 미래 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을 갖고 거세된 국회의 정책 견제 기능을 복구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2000년부터 국회 정책연구위원으로 예결특위 업무를 맡아 온 그는 6개월 전 뜻을 같이 하는 국회 연구위원 등 15명과 함께 '이―월드(e―WORLD) 연구회'라는 모임을 만들었다. 이 책은 연구회가 몇 달 동안 진행한 세미나의 부산물이다. "준비 중인 '네트워크 정치연대'라는 조직을 통해 세계 변화의 흐름을 정치 지도자들이 깨치도록 애쓸 생각입니다."
/김범수기자 bskim@hk.co.kr
사진 박서강기자 pindropper@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