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은 50년 동맹관계사 가운데 가장 심각한 분위기 속에서 이번 주 정상회담을 갖는다. 대통령을 미국에 보낸 한국 국민의 심정은 기대와 함께 조바심을 갖고 있다. 회담에서 다루어질 북핵 문제가 우리에게는 '전쟁이냐 평화냐'를 가를 수 있는 문제이고, 미국에도 그들 나름대로 절박한 국가안보상의 전략적 이슈이기 때문이다.우리는 몇 차례 노무현 대통령에게 부시 대통령과의 첫 만남에서 한미공조를 통해 평화적 해결의 틀을 마련할 것을 주문해왔다. 비록 회담의제가 무겁고 민감하지만 두 정상이 역지사지하면 지혜로운 해결책이 반드시 나오리라 믿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 미국은 자신들의 대응방식이 자칫 전쟁위기를 부르지 않을까 우려하는 한국민의 정서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라크 전은 북한에 경고가 됐겠지만 한국인에게도 전쟁의 위험을 실감케 했다.
특히 북핵을 둘러싼 미국내의 강온 대립 양상은 걱정스럽다. 현재 미 정부안에는 국무성을 중심으로 한 온건론과 국방성을 축으로 한 강경론이 첨예하게 맞서 있다. 강경론의 골자는 미국이 북한에 대해서도 이라크처럼 군사적 조치까지 불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미국에겐 협상 전략상 강경론의 존재가 필요할지 모른다. 그러나 전쟁상황을 걱정해야 하는 한국민의 입장에서는 대미 불신의 실마리가 된다는 점을 미국이 명심해줬으면 한다.
북한의 핵무장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의 불안요인 임에 틀림없다. 지난 3자 회담 등을 통해 중국 역시 북한핵무장에 반대함을 명백히 했다. 따라서 외교적 방법을 통해 김정일 체제가 핵을 포기하도록 할 가능성은 크게 증가했다. 우리는 양국 대통령이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수시로 대화의 장을 마련하고 공조대책을 수립한다면 그 길은 곧 열리리라 확신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