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용호 게이트'의 특별검사 사무실이 있던 서울 강남구 삼성동 한국감정원 건물은 기자들에게는 그야말로 천국이었다. 기자들이 특별검사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할 수 있는 완벽한 구조였기 때문이다. 당시 특검 사무실이 있던 이 건물 7층에는 출입구가 딱 한 곳 있었다. 기자들은 문 앞에 서서 길목만 지키고 있으면 출입자는 물론 특검팀의 동태를 어렴풋이나마 파악할 수 있었다.그러나 대북사건 특검수사는 사정이 확 달라졌다. 기자들이 점검한 바로는 특검 사무실인 14∼15층까지 출입할 수 있는 통로가 무려 6곳이나 된다. 특히 지하 6층까지 있는 건물구조는 취재진을 더욱 난감하게 한다. 주요 조사 대상자들이 지하주차장에 차를 대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특검 사무실까지 '무사히' 도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특검팀은 카드인식시스템 등 첨단장비를 동원해 출입을 통제하고, 거액을 들여 보안점검도 했다. 특검은 '국가 중대사'를 다루는 만큼 언론의 '특종'을 원천 봉쇄해 사건을 의도한 대로 풀어가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언론 입장에선 특검 수사를 '감시'하고 '평가'할 의무가 있고 이런 과정에서 특종은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이다. 특검의 지나친 '보안의식'은 우려를 자아낸다.
/이태희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