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시 구시가지 재개발이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해 이 일대의 고도제한이 완화해 재건축, 재개발붐이 일 것으로 기대했으나 1년이 지나도록 별 진전이 없는 상태다. 사업성이 예상보다 높지 않아 업자들이 재개발사업 추진을 꺼리는 데다 조합이 결성된 일부 재건축아파트도 이권을 둘러싸고 잡음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분당에 이어 성남의 마지막 노른자위 판교마저 개발이 본격화하면, 성남 구시가지는 이들 지역과의 격차가 더욱 크게 벌어질 것"이라며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구시가지 실태
성남시 수정구, 중원구 등 구시가지는 1960년대 말 서울 청계천지역 복개사업으로 집을 잃은 주민들이 집단 이주하면서 만들어진 정책 이주지역이다. 정부는 당시 10∼20평 크기의 주택을 지어 이주민들에게 나눠줬다. 현재 성남 구시가지에 들어선 15만 세대(약 55만 명) 가운데 90% 가량이 당시 지어진 건물로 파악되고 있다. 여기에 70년대 초 인근에 군사시설인 서울공항이 들어서면서 구시가지의 절반 이상이 12m(지상 4층) 이상의 건물을 짓지 못하도록 고도제한조치를 받아 심각한 도시슬럼화 현상이 초래됐다.
재개발 기대, 실적은 부진
지난해 4월 고도제한 완화조치에 따라 성남 재개발 및 재건축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재건축과 관련, 성남시에서 현재 설립인가를 받은 주택조합은 9곳에 불과하며 이중 공사에 들어간 곳은 중원구 하대원동 주공아파트, 중원구 성남동 한진연립 등 2곳 뿐이다. 재건축 대상 아파트 단지들의 규모가 적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업자들이 선뜻 나서지 않고 있는 것이다. 중원구 금광동 재건축사업의 경우 시공자인 삼성물산이 타 지역 재건축아파트에 비해 적은 지분을 제시하고 있다는 이유로 주민들이 반발, 사업추진이 늦어지고 있다. 비상대책위 관계자는 "서울은 20평 아파트를 재건축하면 집주인이 40평 가량을 받을 수 있지만 이곳은 30평도 힘들다"며 반발하고 있다.
단독주택을 비롯한 주택단지의 재개발도 사정은 마찬가지. 정부가 70년대 이 일대를 이주지역으로 개발하면서 도로 주차장 등 도시기반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용적률만 높여 집을 지었기 때문에 재개발을 하고 싶어도 사업성이 떨어져 추진하려는 사업자가 없다.
성남시 재개발추진, 결과는 미지수
이런 가운데 성남시는 분당과의 지역격차를 해소하고 열악한 생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2016년까지 단계적으로 구시가지를 재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수정구와 중원구 일대 73만평을 20개 구역으로 나눠 체계적으로 개발한다는 것. 그러나 이중 14개 구역은 기존 주택가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도로, 상·하수도 시설만 보완하는 땜질식 개발로 진행될 예정이어서 실효성이 의문시된다.
/한창만기자 cmha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