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의 9일 북한 핵 문제 논의를 앞두고 이라크전에 가려져있던 북 한 핵 문제가 다시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번 회의는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 발효 하루 전에 열리는 데다 안보리 의장 성명 채택 여부와 성명 수위 등을 통해 국제 사회의 북핵 해법 구상이 드러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이에 앞서 4일 전화통화를 갖고 북핵 문제의 외교·평화적 해결에 거듭 뜻을 같이 했다. 이날 통화는 우리의 파병동의안 처리에 대해 미국이 감사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양국 정상이 평화적 해결을 재차 천명한 것은 안보리회의를 앞두고 두 나라간에 상당 부분 의견이 조율됐다는 반증으로 볼 수도 있다.
윤영관 외교장관도 6일 KBS―TV에 출연, "주변국간 외교적 노력이 성공한다면 굳이 유엔을 통하지 않아도 문제가 풀릴 수 있다고 본다"고 말해 북핵 다자 대화를 위한 외교 접촉이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시사했다.
실제로 윤 장관의 미·일 방문, 라종일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의 러·중 방문 이후 러시아 외무차관과 일본 외상의 중국 방문 등 관련국간 접촉도 활발하다. 리빈(李濱) 주한 중국대사가 최근 중국 정부의 대북 설득 작업을 시사했고 잭 프리처드 미 대북교섭담당 대사와 한성렬 북한 유엔대표부 차석대사의 3월 말 회담 사실이 외지에 보도됐다. 때문에 북한이 7일부터의 남북장관급회담을 무산시킨 것도 입장정리를 위해 시간을 벌려는 의도로 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안준현기자 dejav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