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관리를 댐 건설 등 공급 위주에서 수요 관리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유엔이 정한 '물의 해'를 맞아 최근 잇따라 열린 토론회에서 각종 물 수요관리 방안들이 제안됐다. 최근 환경정의시민연대 주최로 열린 '물과 인간, 그들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심포지엄, 국회 물관리정책연구회 주최로 열린 '선진국형 수질관리를 위한 국제 정책토론회' 등에서는 농·공업용수, 생활용수 절약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농업용수
농업용수는 2001년 기준으로 연간 물 수요량 340억9,000만톤 중 158억 7,500만톤을 차지한다. 비중이 가장 큰 용수지만 수요관리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역으로 수요 관리를 통한 물 사용 효율을 높일 여지가 많은 부분이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농업 용수 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농업용 저수지의 경우 수위계나 유량계 등 계측 장비가 없어 공급량이 얼마인지도 알 수 없는 실정이다. 또 수로 손실 등으로 농업용수 손실율이 20∼30%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원인별 손실률 등 정확한 자료가 미흡한 상태다.
김선주 건국대 지역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이 때문에 첨단 계측장비와 정보통신망 등을 활용한 과학적인 저수 관리시스템의 개발과 보급을 선결과제로 꼽았다. 여기에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게 되면 관개효율을 20% 이상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교수는 또 농업용수 수로를 관로화하는 한편, 농민들의 물절약 의식을 높이기 위해 농업용수에 물사용료를 부과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진수 충북대 농공학과 교수는 수로의 중간에 설치, 용수 수급차를 조절하는 중간저류시설의 확충을 제안했다. 중간 저류시설은 물의 무효 방류를 줄이면서 농민들에게서 물 절약의 심리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
공업용수
1980년에만 해도 공업용수 수요량은 연간 7억톤에 불과했지만, 2001년 33억톤으로 급증했고, 앞으로도 공업용수 사용량은 계속 증가해 2020년에는 45억톤에 이를 전망이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일본의 경우 산업이 발전하면서 공업용수 수요량이 급격하게 증가했지만 공급량은 오히려 1980년대 이후부터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공업용수의 회수, 재이용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의 회수율은 23.5% 수준에 그치고 있다.
최동진 국토연구원 연구원은 "일본의 경우 전체 공업용수 사용량의 72.2%가 회수한 물"이라며 "기업이 싼 가격으로 공급되는 공업용수의 확보나 하천수, 지하수의 취수량을 늘리는데 관심을 두기보다는 물 이용 효율을 높이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연구원은 폐수배출량 규제를 강화하고, 중수도 기술개발, 폐수 이용의 적극적 인센티브제 도입 등을 통해 물 재이용율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생활용수
물 수요량 중 생활용수는 그동안 수도요금 현실화, 노후 수도관 교체, 절수기 설치 등의 물 절약 대책이 효과를 보고 있는 분야. 1997년 1인당 하루 물사용량이 409리터에서 2001년에는 374리터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최근 관심을 모으는 절수방법은 빗물이용시설. 빗물을 받아 화장실용, 청소용 등으로 사용하는 이 시설은 초기 시설투자비가 요구되나 특별한 기계장치를 요하지 않고 유지관리비도 적게 들어 일본, 독일 등에서 실용화했지만 국내에서는 거의 활용이 되지 않고있다.
최근 월드컵 경기장 4군데와 경기 의왕시 갈뫼중학교에 설치됐고, 서울대 기숙사에서 8월 완공을 목표로 시설 설치가 진행중이다. 서울대는 앞으로 짓게 될 건물에는 모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
이인선 한국환경정보연구소장은 "전체 학교의 10%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한다면 700억원의 시설비에 연간 99만톤의 수자원을 대체할 수 있어 수자원 개선효과는 매우 크다"며 적극적인 보급 확대를 제안했다.
이 소장은 "독일에서는 하수도에 빗물이 유입되면 처리용량을 넘어 도심의 홍수를 유발한다는 이유로 건물주에 빗물처리에 대한 부과금을 물리고 있다"며 빗물이용의 확대를 위해 빗물처리부담금제의 도입 검토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송용창기자 hermee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