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관 외교부 장관의 방미에서 이루어진 한미간 북핵 논의는 노무현 정부 출범 후 양국관계 정립을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공식 도정에 들어선 것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콜린 파월 국무부 장관을 비롯, 윤 장관이 만난 여러 요인들과의 회담에서 이렇다 할 가시적인 합의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동안 북핵 해법에 대한 양국간의 이견과 이로 인한 우려들을 해소하기 위한 실마리를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안도감을 주기에는 충분하다.양국은 북핵 문제를 평화적, 외교적 방식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함으로써 무력에 의한 해법을 일단 배제했다. 한반도의 위기와 불안을 높였던 요인 중 하나가 북한에 대한 무력 사용 가능성이었던 만큼 한미 외무장관이 첫 공식회담 결과로 내놓은 이 합의가 향후 해법도출의 기본토대로 계속 견지돼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미관계의 긴밀한 유지와 함께 북한의 이성적인 호응이 병행돼야 함이 물론이다.
위기해소 방안으로 한국측이 제시한 '로드맵'에 대해 미국측이 긍정적인 관심을 나타낸 것도 양국공조의 중요성에 대한 선의를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또 양측은 미국이 제시한 다자협상 방식을 함께 추진하기로 한 만큼 이를 향해 주변국에 대한 설득과 동참을 이끌어내는 일을 과제로 안았다. 그간 편치 않았던 양국 사이를 보면 지나친 마찰이나 불필요한 오해의 해소만 해도 의미있는 시작이 될 수 있다.
이라크전 파병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극심한 국론분열상은 결국은 한반도의 평화를 두고 일어나는 마찰과 오해를 반영하고 있다. 한국정부가 국내적 무리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대한 지지와 파병을 결정한 것도 북핵문제의 연착륙을 목표로 한 선의의 표시였던 셈이다. 양국은 이번에 보여준 상호 성의와 합의정신을 계속 살려나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