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하 지음 창작과비평사 발행·2만원
'투쟁으로 병들고 병으로 여읜 知詵(지선) 스님 얼굴이/ 오늘/ 웬일로/ 이리 아담한가/ 이리 소담한가// 산문 밖 개울가에서/ 합장하고 헤어질 때/ 검은 물위에 언뜻 비친/ 흰 장삼 한자락이 펄럭,// 아 이제야 알겠구나/ 흰빛의/ 서로 다른/ 두 얼굴을.'('白鶴峯·백학봉 1'에서)
김지하(62) 시인은 2년여 절에서 시상을 붙들어 왔다. 선암사 구룡사 화엄사 내소사 운주사 쌍계사 등을 순례하면서 시를 썼다. '절, 그 언저리'는 절 순례 시 32편과 직접 그린 매화와 난초, 달마도 등 수묵화를 함께 엮은 수묵시화첩이다.
스스로의 수묵화에 대해 김지하 시인은 "흰 그늘의 색채관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흰 그늘'은 그가 탐구해온 사상적·미학적 개념이다. 흰 것과 검은 것, 빛과 어둠, 기쁨과 슬픔 등 기막힌 모순을 조화롭게 아우르는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다. 그의 최근 시작은 이 흰 그늘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이다. 시 '華嚴(화엄) 律呂(율려)'는 화엄사에서 이 모순된 것들이 화해하는 세계를 보고 읊었다. '아 물소리/ 화엄경이여 물소리// 막힌 귀/ 이제는 열리어/ 깊이깊이 열리어// 검은 숲에 우는/ 짐승소리들 법설이요/ 물방울 모두 다/ 보살이며 신장이요// 잎새들 새 잎새들/모두 반야이거니'
'늙은 院堂(원당)의/ 무량수각 현판 뒤/ 맞배 팔작 앞// 붉디 붉은 석류 두 그루// 옛 신라에 섰고/ 옛 고려에 섰고/ 옛 조선에 섰고// 그 혹독하던/ 일제에도 우뚝 섰더니// 오늘/ 시들려는가// 살되/ 살아 죽는 것/ 죽되/ 죽어 사는 것.'('无量壽閣·무량수각 앞에서').
그는 석류나무에서도 삶과 죽음을, 보이는 것 너머를 본다. 못볼 것을 보고 못올 곳에 왔다고 말하면서도 그는 그것이 시인의 운명임을 안다.
김씨는 "백학봉, 쌍계사, 운주사, 지장암(시 제목) 등은 다소 성공적으로 보인다. 나머지는 파품(破品)인데 그렇다고 버릴 것까진 없겠다. 공색(空色)과 청탁(淸濁)이 함께 하듯이 잘난놈과 못난놈은 반드시 엇섞이게 마련이다"라며 자신의 시에 대해 자평하기도 한다.
타박타박 돌아본 절에서, 매화 난초 달마를 그리면서 그는 무엇을 찾아냈을까. 표제작 '절, 그 언저리'에서 지극히 진솔한 답을 준다. '절,/ 그 언저리 무언가/ 내 삶이 있다// 쓸쓸한 익살/ 達摩(달마) 안에// 寒梅(한매)의 외로운 예언 앞에// 바람의 항구/ 서너 촉 風蘭(풍란) 곁에도/ 있다'
/김지영기자 kimjy@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