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해체 운동이 본격화하고있다.강원 평창군 도암댐의 심각한 오염문제(본보 3월3일자 7면 보도)를 계기로 시민단체와 지역주민들이 본격적으로 댐 해체운동에 나섰다.
환경문제로 국내 댐이 해체된 사례는 없지만 유럽이나 미국 등은 1980년대 이후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댐의 해체작업을 활발히 추진해왔다. 미국의 경우 지난해 63개를 비롯, 무려 467개의 댐을 해체했다. 동강댐 건설 저지에 성공했던 환경단체들은 향후 댐 해체문제를 핵심 이슈로 선정, 운동에 돌입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어 건설교통부와 수자원공사 등이 바짝 긴장하고있다.
강원 강릉시, 정선군, 영월군 등 3개시군 주민이 모인 '도암댐 해체 3개 시군협의회'는 이번주 회의를 갖고 도암댐 해체운동에 돌입키로 했다. 김응기 협의회사무총장은 "발전도 못하고 무용지물로 전락해 피해만 가중시키는 도암댐을 더 이상 존속시킬 이유가 없다"며 "3개 시군 주민이 궐기해 댐 해체를 촉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도 성명을 내고 "도암댐은 환경파괴와 예산낭비의 기념비적 사업"이라며 "주민들과 함께 도암댐 해체운동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도암댐 외에도 동해시의 달방댐, 삼척시의 광동댐 등도 해체 요구에 직면해 있다. 1990년 동해시 신흥천 상류에 건설된 달방댐과 88년 삼척시 골지천 상류에 들어선 광동댐은 식수공급과 홍수조절이 건설 이유였지만 도암댐과 마찬가지로 수질 악화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지난해 태풍 루사가 왔을 때 홍수조절 역할마저 못한데다 댐 붕괴위험으로 주민 대피령이 내려지자 주민불만이 극에 달했다. 동해환경보호 국민운동본부의 박수현 회장은 "달방댐이 건설된 후 혜택을 보기는커녕, 식수로도 이용 못하는 데다 퇴적물까지 쌓여 댐 붕괴위기까지 초래했다"며 "즉시 해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댐 정책에 대한 비판도 커지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도암댐 사례처럼 의미있는 전력생산수단도 아니고 홍수조절에서도 제 역할을 못하지만, 개발론자에 의해 댐 기능이 과대포장됐다"며 "댐 건설을 통한 물 공급보다는 물낭비를 줄이는 수요관리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건교부는 "2006년부터 물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 2020년까지 26억톤의 물 부족이 예상된다"고 반박, 2011년까지 전국 12곳에 댐을 추가로 건설하겠다는 계획이라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송용창기자 hermee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