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오늘]<732> 2·26 쿠데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오늘]<732> 2·26 쿠데타

입력
2003.02.26 00:00
0 0

1936년 2월26일 새벽 황도파(皇道派)라고 불리던 일본 육군 장교들이 국가의 전면 개조와 군사정부 수립을 요구하며 쿠데타를 일으켰다. 육군 대위 노나카 시로(野中四郞)를 비롯한 황도파 청년 장교들은 1,400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도쿄(東京)에서 봉기해 수상 관저와 의사당, 육군성, 경시청 등을 습격했다. 반란군은 내무대신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대장상 다카하시 고레키요(高橋是淸), 육군 교육총감 와타나베 조타로(渡邊錠太郞) 등을 살해했다. 이 날 살해된 내무대신 사이토는 두 차례 조선총독을 지낸 뒤 수상을 지낸 인물이었고, 대장상 다카하시 역시 수상을 지낸 인물이었다.2·26 쿠데타를 촉발시킨 것은 일본 군부 안의 파벌 싸움이었다. 주로 위관급 청년 장교들로 구성된 황도파는 '천황' '황국' '황군'으로 상징되는 일본 특유의 관념론에 기대어 강력한 반공·반소주의와 농본주의를 내걸고 일본의 급진적 군국화를 꾀했다. 반면에 중앙 막료들을 중심으로 한 통제파(統制派)는 황도파의 직접적 행동주의를 비판하고 재벌·정계와 연합해서 '합법적으로' 일본을 군국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도파와 통제파는 서로 상대를 '이단' '군벌'로 부르며 적대감을 쌓아갔는데, 이들은 구체적 방법론에서는 차이를 보였지만 일본 국가의 병영화를 지향하는 파시스트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황도파의 기대와 달리 천황 히로히토(裕仁)는 이들의 반란에 노해 진압을 지시했다. 29일 사병과 하사관이 원대로 복귀한 뒤 장교들이 체포되면서 쿠데타는 나흘 만에 막을 내렸고, 민간인들을 포함해 주모자 전원이 처형됐다. 2·26쿠데타의 실패는 일본 군부 안에서 황도파의 몰락을 가져왔지만, 군부 자체의 힘은 더욱 커져 그 뒤 일본은 실질적인 군사국가가 되었다.

고 종 석/논설위원 aromachi@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