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한 중국의 저가상품 밀어내기 수출전략이 세계적 불경기를 초래한다는 '중국발 디플레' 주장이 국제적 장에서 본격 거론될 전망이다. 닛케이(日經)신문과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은 21일 이날 파리에서 열리는 서방선진7개국(G7) 경제장관 회담에서 중국의 위안화 환율문제가 논의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위안화 환율문제는 일본이 주도적으로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닛케이는 일본 재무성이 이번 G7 회담에서 중국시장 문제가 논의되도록 요청키로 최종방침을 세웠다고 전했다. 특히 이 요청이 수용될 경우 논의의 초점은 위안화 환율에 모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위안화 환율이 도마에 오른 것은 중국 정부가 수출촉진을 위해 위안화를 인위적으로 저평가하고 있다는 분석 때문. 위안화 저평가로 수출경쟁력이 높아진 중국제품이 미국과 일본시장으로 쏟아져 들어와 이들 국가의 무역적자와 디플레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일본은 저조한 소비지출로 인한 디플레 현상이 중국제 저가상품 때문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중국은 대규모 외환보유고와 무역흑자 등 위안화 평가절상 조건이 충분한 상황에서도 위안화와 달러의 비율을 8.3 대 1 수준으로 고정(페그)시켜 놓고 있다. 이 같은 페그제는 위안화를 달러에 연동시킴으로써 달러 약세에도 중국의 대미 수출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일본이 총대를 멘 것은 자국기업의 중국이전에 따른 산업공동화 우려와 맞물려 있다. 이 같은 일본의 움직임에 지속적인 대중국 무역적자를 겪고 있는 미국도 동조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의 지난해 무역적자는 사상 최대인 4,352억2,000만 달러였으며, 이중 대중 적자만 1,031억 달러에 달했다.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은 미국 조야에서도 중국에 대해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을 행사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움직임이 현실화할 경우 중국의 반발은 불가피하다. 수출촉진을 통해 실업압력을 완화하려는 중국 정부로서는 위안화 평가절상을 수용하기 어렵다. 중국은 최근 일본이 구조개혁 실패에 따른 불경기의 책임을 중국에 전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배연해기자 seapower@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