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기자실이 개방형으로 바뀐다고 한다. 제한적인 상주 출입기자단 중심 운영에서 출입등록을 한 국내외 모든 매체가 취재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폐쇄적이라고 할 수 있었던 기존 방식에 비하면 '개선'이라고 할 만한 변화다. 폐쇄보다는 개방이 시대조류에도 맞다.청와대 기자실이라고 해서 유별난 영역일 수는 없다. 그러나 대통령의 일거수 일투족을 추적하는 업무의 특성이나, 경호상의 문제 등으로 근접취재나 공동취재라는 고유의 관행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 대통령 취재에 따르는 이런 특성들을 어떻게 조화하고 해결할지는 별도의 대책이 필요하겠지만, 청와대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된다는 점은 일단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매체의 영역과 영향력이 날로 늘어가는 추세를 감안하면 기존의 기자실 운영방식과 정보수요 사이에 충돌이 일어날 소지도 있다.
그러나 기자실의 등록개방이 공식적인 브리핑 취재 중심으로만 운영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인 정보유통이라는 문제가 나올 수 있다. 또 모든 매체가 동일한 자격과 기준에 따라 청와대에 접근토록 한 조치가 방송과 신문 중심의 기존 매체, 또는 이른바 유력 매체에 대한 어떤 관점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있다. 만약 그렇다면 새 정부의 언론관 내지 언론정책에 대한 궁금증이 일지 않을 수 없다.
노무현 당선자는 후보경선이나 선거과정에서부터 언론에 대한 불만이나 경계, 또 일부 매체에 대해서는 적대감을 갖기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노 당선자는 언론이 사실 이상으로 '뻥튀기'를 일삼는다는 원색발언을 한 적도 있어, 차제에 그의 언론관이 어떤 정책으로 구체화할지 주목하게 된다. 또 양자가 서로 '개방적 마인드'를 갖는 관계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