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비서실 직제개편 작업이 경제수석을 없애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감에 따라 새 정부 경제부총리는 경제정책의 실질적 사령탑으로 그 권한과 위상이 크게 강화될 전망이다.대통령직 인수위는 경제수석과 경제특보를 두지 않는 대신, 정책기획수석이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조정과 부처와의 정책 조율을 담당케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장관급인 정책기획수석이 기존의 경제·교육문화·복지노동 분야를 모두 포괄하기 때문에 경제정책 전반에 대한 조정기능을 수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경제부처를 통할하며 주요 경제현안을 조율하는 역할은 경제부총리가 주도할 가능성이 크다. 해당 부처와의 일상적인 협의 채널은 정책기획수석 아래 신설되는 정책1·2·3비서관(1급)이 맡게 된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경제수석이 청와대에 버티고 있으면 경제부총리의 조정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새 정부에서는 부총리가 주도하는 경제정책조정회의와 경제장관간담회 등이 더욱 활성화하고, 여기에서 주요 경제현안에 대한 정책 조율이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실 지금까지 주요 경제정책은 경제부총리와 경제수석의 '투톱'체제로 운용돼 왔고, 이 과정에서 경제수석이 지나치게 앞서 나가면서 불협화음을 빚는 경우가 많았다.
이처럼 위상이 강화되는 만큼 새 정부 경제부총리는 중량급 인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하마평에서도 개혁성향을 지닌 김종인(金鍾仁)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청와대 경제수석과 보사부 장관을 지낸 풍부한 경륜과 개혁성을 두루 갖춘 그는 노무현(盧武鉉) 당선자를 여러 차례 만나 경제정책 전반에 대해 자문을 했다.
이헌재(李憲宰) 전 재경부장관은 당선자가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정부에서 2차 공적자금 투입을 둘러싸고 구설수에 휘말린 점이 부담이 되고 있다. 사공일(司空壹) 전 재무장관도 국제적인 지명도를 바탕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개발시대를 주도했던 구시대 인물이라는 점에서 발탁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게 중론이다.
대선 때 노 당선자의 경제특보로 활동했던 강봉균(康奉均) 민주당 의원, 당선자에게 이끌려 부산시장에 출마했던 한이헌(韓利憲) 전 경제수석도 거론되고 있다. 관가에선 장승우(張丞玗) 기획예산처 장관의 승진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고재학기자 goindo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