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책 / 지허스님의 차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책 / 지허스님의 차

입력
2003.01.18 00:00
0 0

지허 스님 지음 김영사 발행·1만2,900원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녹차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식사 후 커피나 청량음료 대신 녹차를 마시는 사람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쉽게 마실 수 있는 티백으로, 또 찬물에 타서 마실 수 있는 녹차까지 나와 있으니 외국에서 들여 온 홍차 못지 않다. 그런데 우리가 마시는 녹차가 실은 우리차를 밀어 내고 들어온 일본차에서 비롯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선암사 주지로 있는 지허 스님이 쓴 '지허 스님의 차'는 이러한 차(茶)에 대한 잘못된 상식을 알려주고 우리 고유의 차 문화를 찾고자 하는 책이다. 전남 순천시 승주군에 있는 선암사는 신라 진흥왕 3년(542년)에 세워진 사찰로 태고종의 본산이다. 여기에 있는 5,000여평 규모의 칠전선원 차밭은 자생 차나무 밭으로는 국내 최대이다.

지허 스님은 인간의 욕심과 편리함이 우리차의 쇠퇴를 불러왔다고 말한다. 일제시대 일본에서 늘어나는 차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심은 일본 차나무(야부다기 종)를 대기업이 대량생산하면서 본래의 맛과 향은 사라지고 말았다.

일본식 '녹차 상업주의'는 티백(Teabag)으로 극명하게 드러난다. 싼 가격에 공급하기 위해 묵은 잎이나 쭉정이까지 집어 넣은 티백 녹차는 편리함과 차의 정신을 맞바꾸었다.

대기업이 일본 차나무를 선택한 것도 재배의 편리함 때문이다. 자생 차나무의 특징은 뿌리가 곧게 땅속 깊이 들어가는 '직근성'에 있는데 비료를 쓰면 뿌리가 옆으로 퍼지는 '횡근성'으로 변하고 맛도 변한다고 한다. 차잎을 따고 보관하는 과정도 세심함과 정성이 필요하다. 가을에 새 잎을 따서 만드는 차와 겨울에 묵은 잎을 사용하는 차는 그 맛이 전혀 다르다.

제대로 만들어 진 우리차는 은은한 숭늉 빛깔로 구수한 맛이 난다. 우리가 녹차의 특성으로 알고 있던 잎사귀 맛이 살짝 나는 녹색 빛깔과는 사뭇 다르다. 그래서 저가의 제품은 현미 녹차라는 편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차를 재배할 때 농약을 사용하기 때문에 요즘 일본에서는 오히려 차가 건강에 해롭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맑은 물을 데워 무공해로 재배된 선암사의 진짜 우리차를 마셔보고 싶게 이끄는 책이다.

/홍석우기자 museh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